탄소중립 AI 잠재력 세미나 개최
AI 과학기술로 기후위기 대응 방안
"기후정책 제도기반 구축에 최선"
정계, 지역사회 기후위기 관심 고조
이소영 국회의원이 세미나에서 발언하는 모습. 이 의원 블로그 캡처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환경문제 해결을 목표로 정계에 입문한 더불어민주당 이소영(재선) 국회의원이 "최근의 극단적 기후재난은 기후위기를 더 이상 두고 볼 수 없다는 경고처럼 느껴진다"며 총력 대응 필요성을 강조했다.
29일 이 의원의 SNS 글에 따르면, 이 의원은 전날 국회입법조사처와 함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그린 AI 성장전략 세미나 : AI는 탄소중립에 도움이 될 수 있을까?'를 개최했다며 이 같이 밝혔다.
이 의원은 게시글에서 "탄소중립은 국회에 들어오기 전부터 줄곧 몰두해온 과제다"라며 "최근 한 20대 시민분께서 '기후 우울'을 앓고 있다며 다들 환경에 관심이 없어 보여 무력해진다는 의견을 주셨는데, 이 의견에 공감하면서도 과학기술 발전이 어쩌면 기후위기를 극복할 기회가 될 것이라는 희망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앞으로 AI가 탄소중립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다지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임희정 한국스탠포드센터 선임연구원은 '전기차와 자율주행이 바꾸는 모빌리티 생태계'를 주제로 발표하면서 "자율주행 기술의 발전은 전기차 확대와 충전 인프라, V2X(양방향 전력 교환) 기술의 진화로 이어지고 있다"며 "전기차-자율주행-AI-에너지 산업이 상호 보완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과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김병권 녹색전환연구소 연구위원은 한국이 AI 등 디지털 전환 부문에 비해 환경·생태 대응 측면에서는 뒤처져 있다고 지적하며, 기후가 허용하는 한계 내에서 AI 개발이 이뤄져야 한다는 점을 짚었다.
이소영 의원 블로그 캡처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소영 의원은 환경 전문가로 통한다. 대학시절부터 환경문제에 관심을 갖고 운동가로 뛰었다. 변호사 시절 김앤장 법률사무소 환경-에너지팀 소속이었고, 환경 관련 비영리단체를 만들어 국무총리실 산하 녹색성장위원회에서도 활동했다.
그는 △2050년 탄소중립 목표 법제화 △탄소중립기본법 제정 △기후대응기금 신설 △그린뉴딜 국가 과제 추진 등의 성과를 내는가 하면, 국정감사에서 삼성전자를 증인으로 소환해 탄소중립 선언을 이끌어내고 '종이 없는' 국감을 제안해 주목받았다.
민주당 기후행동의원모임 '비상'의 창립(지난해 6월) 멤버이기도 하다. 비상의 구성원은 이소영·박지혜·한정애·김성환·김정호·위성곤·김원이·민형배·허영·박정현·백승아·염태영·임미애·차지호 의원 등이다. 이들은 "기후위기로 멸종과 붕괴 위기가 눈앞에 닥쳐온 비상상황이지만 윤석열 정부는 한가하기만 하다"며 "G7을 지향한다면서 탈석탄은커녕 삼척석탄발전소는 2053년까지 가동 예정이고 , 재생에너지는 수사와 감사의 대상일 뿐"이라고 비판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 경기도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편 이 의원의 지역구(의왕과천)가 포함된 경기도 역시 국내 최초 지자체 기후위성 발사운영 추진과 기후경제 체계 구축, 신재생에너지 기반 확대, 저탄소 첨단산업 활성화 등 기후정책을 역점 추진해 오고 있다. '기후지사'로 불리는 민주당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미래정책 의지에 따른 공약사업들이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 사이트 : https://url.kr/b71afn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