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테카, 美기업과 최대 45억 계약
파로스아이바이오, 임상 신청 공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내 인공지능(AI) 신약 개발 기업들이 조금씩 성과물을 내놓고 있다. 신테카바이오(226330)는 미국 기업과 AI 플랫폼을 활용한 신약 개발 계약을 체결했고 파로스아이바이오(388870)는 AI로 발굴한 신약 후보물질 국내 임상 준비에 착수했다.
2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신테카바이오는 미국 바이오텍 프라그마 바이오사이언스와 AI 플랫폼 ‘딥매처(DeepMatcher)’ 기술을 활용한 신약 후보물질 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딥매처를 활용해 프라그마의 보유 물질 또는 신규 화합물질을 탐색하고 발굴하는 것이 계약의 핵심이다. 신테카바이오는 최종 후보물질을 도출하고 동물실험까지 단계별 용역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파로스아이바이오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난치성 고형암 치료제 ‘PHI-501’의 1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신청했다. PHI-501은 파로스아이바이오의 AI 신약 플랫폼 ‘케미버스’의 질환 타깃 예측 모듈 ‘딥리콤’을 활용해 난치성 대장암, 악성 흑색종, 삼중 음성 유방암 등 난치성 고형암으로 적응증을 확장한 물질이다.
파로스아이바이오는 AI로 도출한 후보물질을 임상 단계에 진입시킨 국내 최초 기업이다. 파로스아이바이오가 개발 중인 재발·불응성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치료제 후보물질 ‘PHI-101’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개발 단계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됐고 현재 임상 2상을 준비 중이다.
박효정 기자 jpark@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