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송 영하 6도까지, 경량 패딩 제공…불타 쓰러진 집에 막막, 발길 돌려
임시 주거시설 마련에 집중…잔불 되살아나 진화작업, 경찰 실화자 수사
폐허가 된 안동 임하면 |
(안동=연합뉴스) 이승형 기자 = '경북 산불'로 대규모 피해가 난 지역의 기온이 크게 떨어질 것으로 예보돼 고령자들이 대부분인 이재민과 주민 건강이 우려된다.
29일 대구기상청에 따르면 산불 피해지역 기온이 밤사이 뚝 떨어져 오는 30일 오전에는 모두 영하권을 기록할 전망이다.
청송이 영하 6도를 기록하고 의성과 영양이 각각 영하 4도, 안동이 영하 3도, 영덕이 영하 1도까지 내려갈 것으로 예측됐다.
낮 최고 기온도 10도 전후에 머물 전망이다.
행정당국은 고령자들의 건강 관리를 위해 급히 경량 패딩을 준비하고 일부는 상대적으로 난방이 잘되는 경로당으로 옮기도록 지원했다.
이번 산불로 주택 3천285채가 불에 탔다. 아직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체육관 등에 대피하고 있는 주민은 4천700여명에 이른다.
안동, 영덕, 청송에 임시 주택 26채를 설치하고 있으나 이재민이 많아 임시주거시설 확보에는 적지 않은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대피소에 머물던 피해지역 주민들은 집으로 돌아갈 수 있을까 하는 마음에 마을을 찾았으나 잿더미가 된 집을 보고는 한숨만 내쉬었다.
주민들은 혹시나 하는 마음에 집 여기저기를 둘러보았지만 어떻게, 어디부터 손을 대야 할지 엄두를 내지 못했다.
일부 산불 피해지역에는 여전히 전기, 수도, 통신이 끊겨 주민이 큰 불편을 겪고 있다.
다시 찾은 마을은... |
경북도는 29일 이철우 도지사를 본부장으로 하는 '초대형 산불 피해 대책본부'를 설치하고 이재민 임시주거시설 지원 등에 우선 집중하기로 했다.
이 지사는 "주거부터 농업, 어업, 임업, 공장 등 생계 현장까지 한치의 소홀함과 불편함이 없도록 행정력을 동원하겠다"며 "임시주택 등 이재민 주거환경 개선, 건강, 식사, 생필품 등을 원스톱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행정안전부와 안동시 등 관계기관 합동으로 구성된 '경북합동지원센터'는 지난 27일 안동체육관에 설치됐다.
한편 전날 주불 진화가 끝났는데도 산불 피해지역에서는 이날 잔불과 이에 따른 연기가 곳곳에서 올라와 한때 긴장감이 감돌기도 했다.
산림 당국은 남은 불이 확산하지 않도록 안동 남후면, 의성 신평면·사곡면에 헬기 20여대를 투입해 진화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마을 주민들도 주변 잔불 진화에 힘을 보탰다.
경찰은 산불 최초 발화 추정 지점을 현장 조사 하는 등 본격 수사에 착수했다.
실화자로 추정되는 성묘객 A(50대)씨의 가족을 불러 기초 사실조사를 실시하는 등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산불에 초토화된 안동·의성 |
haru@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