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AFP 통신 등에 따르면, 미얀마 군사정권은 이날 성명을 통해 이번 지진과 관련한 사망자가 1002명, 부상자는 2376명으로 확인됐다고 발표했다.
사망자 수는 미얀마 군정 수장인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이 전날 밝힌 144명에서 하루 만에 약 7배로 늘어난 것으로, 진앙과 가까운 만달레이 등지에서 시신이 잇따라 발견되고 있기 때문이다.
미얀마 제2대 도시로 약 120만 명의 인구를 보유한 만달레이는 이번 지진으로 인해 거의 초토화됐다. 한 구조대원은 "만달레이의 붕괴한 한 아파트 잔해에서 시신 30구가 수습됐다"며 "마을이 무너진 도시처럼 보인다. 이 지역 건물의 약 5분의 1이 파괴됐을 것"이라고 AFP에 전했다.
만달레이에서 남쪽으로 200km 이상 떨어진 수도 네피도에서도 부상자가 늘어나고 있다. 사원 등 건물 잔해에서 최소 60구의 시신이 수습됐지만 아직 더 많은 사람이 매몰돼 있다고 한 구조대원은 전했다.
진앙에서 1000여 km 떨어진 태국 방콕에서도 건설 중이던 33층 높이의 태국 정부 건물이 붕괴하면서 6명이 사망하고 26명이 부상했으며 47명이 실종 상태라고 방콕시 당국은 밝혔다.
지진 피해가 불어나고 있는 가운데 국제 사회도 구조 및 복구 작업 지원에 동참하고 있다.
유엔(UN)은 미얀마 복구 작업에 500만 달러(약 74억원)를 일차로 배정하고, 현지 UN 직원 등을 통해 피해 규모 및 인도적 지원 범위 등을 파악할 방침이다.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외교장관들도 성명을 내고 미얀마에 효과적인 지원을 적시에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과 러시아는 구조 인력을 파견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미얀마와 인접한 윈난성 출신 인력 37명으로 구성된 구조팀이 29일 이른 아침 지진 감지기와 무인기 등을 갖고 양곤에 도착했다.
인도는 수색·구조팀과 의료팀·식량을 보냈고, 말레이시아도 30일 지원 인력 50명을 파견할 예정이다.
미국과 유럽연합(EU) 등도 도움을 약속했다. 미얀마 군정이 지난 2021년 군사 쿠데타로 정권을 장악하자 서방은 미얀마에 제재를 가해 왔다.
해외 원조를 대대적으로 삭감해 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미얀마 지진은) 끔찍한 일"이라며 "우리는 도울 것이고 이미 그 나라와 이야기를 나눴다"고 말했다.
한국 외교부는 미얀마에 200만 달러 규모의 인도적 지원을 제공하기로 했다.
[만달레이 로이터=뉴스핌 특약] 28일 지진으로 무너진 만달레이의 한 사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hongwoori84@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