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01 (화)

미중 갈등에 ‘배신자’ 취급 받는 홍콩재벌…中 당국 조사 받는다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홍콩 재벌 리카싱. EPA·연합뉴스


파나마 운하 항구 운영권을 미국 기업 블랙록 측에 매각하기로 한 CK허치슨홀딩스의 소유주 홍콩 재벌 리카싱 가문이 미국과 중국 양쪽으로부터 압력을 받는 처지에 놓였다.

홍콩 명보 등 일부 외신은 최근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지난주 중국 당국이 자국 국유기업에 CK허치슨홀딩스 등 리카싱 일가가 소유하고 있는 기업들과 새로운 협력을 보류하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29일 보도했다.

소식통은 “다만 이전에 진행된 거래까지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이어 “당국이 리카싱 일가의 사업거래 범위를 파악하기 위해 중국과 해외에 어떤 투자를 하고 있는지도 살펴보고 있다”고 했다.

CK허치슨의 파나마 항구 매각 건과 관련해 리카싱 일가가 중국 정부로부터 받는 압박을 받는 것으로 관측된다.

파나마 운하 양쪽 입구의 두 항구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전부터 논란이 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식에서 “중국이 파나마운하를 운영하고 있다”면서 “무력을 동원해서라도 운하를 되찾겠다”고 했다.

지난 1월 취임하자마자 파나마 정부를 외교적으로 압박해 중국과 맺은 ‘일대일로’ 협정에서 탈퇴하도록 했다.

이번 매각 건 배후에도 미국 정부의 압박이 있다는 분석이 대체적이다.

리카싱 일가 소유인 CK허치슨은 지난 4일 파나마 운하 항구 운영사 지분 90%를 포함해 중국·홍콩 지역을 제외한 전 세계 23개국 43개 항만사업 부문 지분 등 기타 자산을 블랙록 컨소시엄에 매각하기로 하고 우선협상에 들어갔다.

거래 규모는 228억 달러이고, 본계약 체결은 4월 2일로 예정돼 있다. 계약이 체결되면 CK허치슨은 190억 달러를 현금으로 받게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 지도부가 파나마 항구 문제를 트럼프 미국 행정부와의 협상카드로 이용하려고 구상했으나 CK허치슨이 베이징의 승인을 요청하지 않고 매각을 발표하면서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격노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중국 정부는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았으나 친중 매체인 홍콩 대공보는 지난 13일, 15일, 17일 잇달아 사설과 평론을 실어 리카싱을 공격했다.

대공보는 “리카싱 일가가 국에 무릎을 꿇고 돈 앞에서 대의를 잃은 행위로 조국과 민족, 중국인 전체를 배신했다”고도 했다.

문경근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서울신문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