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뉴욕 경제클럽에서 연설하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
(뉴욕=연합뉴스) 최진우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이번 주(3월 31일~4월 4일) 뉴욕 주식시장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를 최대 재료로 삼을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4월 2일 상호관세의 수준, 범위, 대상 등을 발표할 계획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4월 2일을 '해방의 날'이라고 표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의약품에 대한 관세 부과도 '임박(soon)'했다는 점도 거론했다. 다만, 관세 발표 이후 협상 가능성도 내비치긴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8일 전용기 에어포스원에서 기자들을 만나 관련 질문에 "나는 분명히 열려 있다(I'm certainly open to that)"면서 "우리가 무엇인가를 할 수 있다면, 우리는 그것에 대한 대가를 얻을 수 있다"고 답했다.
가벨리펀드의 공동 최고투자책임자(CIO)는 "(관세에 대해) 비교적 면역이 있는 회사이거나, 워싱턴에서 나오는 일부 뉴스에 과도하게 반응한 회사를 찾으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첫 거래일인 31일에는 대형 지표는 없다. 3월 시카고 구매관리자지수(PMI) 정도만 투자자가 만나볼 수 있다.
4월 1일에는 미국 공급관리협회(ISM)가 발표하는 3월 제조업 PMI가 나온다. 3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제조업 PMI 확정치도 발표된다.
미국 노동부는 2월 구인ㆍ이직보고서(JOLTS)를 ISM의 제조업 PMI와 같은 시점에 내보낸다. 이를 통해 고용시장에 대한 힌트가 제공될지 주목된다.
3일에 투자자는 ISM의 3월 서비스업 PMI를 마주하게 된다. 미국 경제에서 제조업보다 서비스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더욱 큰 만큼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의 3월 서비스업 PMI도 비슷한 시점에 뜬다.
마지막 거래일인 4일에는 대형 지표인 미 노동부의 3월 고용보고서가 나온다. 연합인포맥스가 집계한 비농업 부문 고용 증가 폭은 전달 대비 12만8천명이다.
2월 지표의 경우 15만1천명 증가했다. 시장 전망치(16만명)를 밑돌았다.
이외에도 고용보고서 안에 담긴 시간당 평균소득, 경제활동 참가율 등도 투자자가 챙겨봐야 할 지표로 꼽힌다.
경제지표 외에도 이번 주에는 연방준비제도(연준ㆍFed) 주요 인사의 연설도 꽤 있다.
토머스 바킨 리치먼드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1일), 아드리아나 쿠글러 연준 이사(2일), 필립 제퍼슨 연준 부의장ㆍ리사 쿡 연준 이사(3일), 제롬 파월 연준 의장ㆍ마이클 바 연준 이사ㆍ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4일) 등이 공개석상에서 발언할 예정이다.
이번 주에 미국 주요 기업의 실적 발표는 없다.
미국 뉴욕 증시 - 다우존스 하락ㆍS&P500 하락ㆍ나스닥 하락 (PG) |
◇주요 일정 및 연설
- 3월 31일
3월 시카고 PMI
3월 댈러스 연준 제조업지수
- 4월 1일
3월 ISM 제조업 PMI
2월 구인ㆍ이직 보고서(JOLTS)
2월 건설지출
3월 댈러스 연준 서비스업 지수
토머스 바킨 리치먼드 연은 총재 연설
- 4월 2일
3월 ADP 전미 고용보고서
아드리아나 쿠글러 연준 이사 연설
- 4월 3일
3월 ISM 서비스업 PMI
2월 미국 무역수지
필립 제퍼슨 연준 부의장 연설
리사 쿡 연준 이사 연설
- 4월 4일
3월 고용보고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연설
마이클 바 연준 이사 연설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 연설
jwchoi@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