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가치 못주는 나라, 협상 여지 없어”
사전 협상·부과 예외 가능성도 일축
WP “참모진에 ‘관세 강도 높이라’ 요구”
더티15 국가에 광범위한 관세부과 가능성
시장은 경제 부메랑 우려···S&P 등 줄하락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4월 2일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를 앞두고 경제 후폭풍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지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보다 강경한 행보로 전 세계의 불안을 자극하고 있다. 동맹국들의 기대와 달리 관세 발표 전 사전 협상은 없다고 선을 긋는가 하면 참모진에는 보다 공격적인 관세정책을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29일(현지 시간) 미국 NBC와의 인터뷰에서 “상호관세와 관련해 더 이상 미룰 계획이 없고 상대국이 우리에게 엄청난 가치를 제공할 의향이 있을 경우에만 협상을 고려할 수 있다”며 “그렇지 않다면 협상의 여지는 없다”고 잘라 말했다. 각국이 추후 미국과 협상 테이블에 마주 앉기조차 쉽지 않을 것이라는 예고다.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에 대한 사전 협상이나 부과 예외 가능성도 차단했다. 그는 전날 사전 협상이 가능한지에 대한 질문을 받자 “아니다. 아마도 그 뒤에”라며 ‘선(先)부과 후(後)협상’ 방침을 밝혔다. 최근까지 유럽과 영국 등 주요 동맹국들이 사전 협상을 통해 상호관세를 유예받거나 감면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 것과는 반대 기조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트럼프 대통령이 더욱 강도 높은 상호관세를 주문하는 정황도 나오고 있다. 이날 워싱턴포스트(WP)는 관계자를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고위 참모진에게 상호관세를 강화하도록 압박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지시에 따라 참모들은 상호관세 발표 때 부과할 수입품의 범위에 대해 숙고하고 있으며 모든 품목에 부과하는 보편관세 아이디어도 다시 거론되고 있다고 WP는 전했다.
외신들은 트럼프의 이 같은 주문의 결과가 이른바 ‘더티(dirty) 15’ 국가에 집중돼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은 앞서 미국에 상당한 관세를 부과하는 국가를 ‘더티 15’로 칭했는데, 여기에는 미국과의 무역에서 큰 흑자를 보고 있는 한국과 일본·독일·멕시코·캐나다 등이 포함될 공산이 크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시장에서는 이런 고강도 관세가 미국 경제에 부메랑이 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최근 발표된 미시간대의 3월 소비자심리지수는 2022년 9월 이후 최저치로 떨어졌으며 2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전년 대비 2.8% 상승해 1월(2.7%)보다 오름폭이 커졌다. 관세가 미국에 스태그플레이션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관측에 28일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97% 하락했다. 이달 10일(-2.7%)에 이어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두 번째로 큰 일일 낙폭이다.
뉴욕=김흥록 특파원 rok@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