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021년부터 2023년까지 메이저리그에서 뛰었던 코너는 2024년 삼성에 입단해 28경기에서 160이닝을 던지며 11승6패 평균자책점 3.43의 뛰어난 성적을 거뒀다. 시즌 초반 적응하는 데 약간 애를 먹기도 했으나 적응 이후에는 리그 외국인 투수 중에서도 다섯 손가락 안에 들어갈 만한 활약을 했다.
삼성은 그런 코너가 원태인과 더불어 가을야구의 주역이 될 것이라 기대하고 또 상상했다. 하지만 그런 일은 없었다. 코너는 시즌 막판 견갑골 부상으로 이탈했고, 좀처럼 재활 단계의 속도를 붙이지 못했다. 당시 포스트시즌 진출은 확정적이었던 삼성은 코너가 가을에도 던질 수 있기를 기대했지만 코너의 대답은 아니었다. 결국 삼성도 복귀를 포기하면서 삼성은 외국인 에이스 없이 포스트시즌을 치렀다.
플레이오프는 대니 레예스의 영웅적인 활약에 힘입어 통과했지만, 한국시리즈에서는 코너의 빈자리를 절감하며 결국 우승 문턱에서 주저앉았다. 지금도 많은 팬들은 “한국시리즈에 구자욱과 코너가 있었다면 결과가 달랐을까”라고 상상하지만, 지나간 일이라는 점에서 부질 없는 가정이다. 어쨌든 코너는 삼성과 재계약에도 실패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팀 선발진의 부상 공백, 그리고 선발과 롱릴리프로 모두 뛸 수 있는 활용성에 희망을 걸어봤지만, 탬파베이가 29일(한국시간) 발표한 개막 26인 로스터 명단에 코너의 이름은 없었다. 코너는 당분간은 구단 산하 트리플A팀에서 선발 로테이션을 돌며 메이저리그 결원 사태에 대비할 것으로 보인다. 시즌을 치르다보면 부상자도 많이 나오고, 코너는 대체 순번 자체는 앞에 있는 선수다. 다만 세상 일이 뜻대로 흘러가지는 않는다. 불확실성이 있다.
구체적인 계약 조건이 알려지지는 않았으나 코너 정도의 선수라면 마이너리그 계약을 할 당시 옵트아웃 조항을 넣었을 가능성도 있다. 어느 시점까지 메이저리그에 올라가지 못할 경우 선수 측이 계약을 해지하는 방법이다. 다만 KBO리그 복귀의 길은 막혀 있다. 삼성은 지난해 시즌이 끝난 뒤 보류선수명단에 코너를 넣었고, 보류권을 풀었다는 이야기는 없다. 돌아온다면 삼성으로 돌아와야 하는데 삼성의 두 외국인 투수들에 뭔가 문제가 생겨야 한다. 시즌 중에는 타이밍도 맞아야 하는 만큼 돌아오기 쉽지 않고, 내년도 장담할 수는 없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저작권자 ⓒ SPOTV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