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홍콩 기업 파나마항구 운영권 매각에 제동?…중국 당국 “거래 심사할 것”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나마 항만 회사가 운영하는 파나마 운하의 발보아 항구에 정박한 화물선을 항공사진으로 찍은 모습. 파나마시티/로이터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홍콩 기업이 미국의 압박에 파나마 운하 항구 운영권을 미국 기업에 넘기려고 했지만, 중국 시장감독 당국이 이 거래에 제동을 걸었다. 며칠 내로 예정됐던 두 기업 간 최종 계약 체결도 연기될 것이라고 외신은 보도했다.



29일 시케이(CK)허치슨홀딩스는 미국 기업 블랙록 컨소시엄에 파나마 운하 항구 2곳의 운영권 등을 매각하기로 하고 다음달 2일 최종 계약을 맺기로 했지만, 이는 연기될 것으로 보인다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와 로이터 통신 등이 보도했다. 전날 중국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은 시케이허치슨의 파나마 항구 운영권을 포함한 항만 자산 매각 거래를 두고 “반독점 부서가 주목하고 있고, 법에 따라 거래를 심사해 시장의 공정경쟁을 보호하고 공공이익을 지키겠다”고 밝혔다. 중국 당국은 간접적으로 파나마 항구 운영권 매각에 강한 반대 입장을 보인 것에서 한발 나아가 거래 및 기업 조사를 공식화했다.



시케이허치슨은 미-중 패권경쟁 속 곤란한 입장에 처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취임 뒤 중국이 파나마 운하 통제권을 갖고 있다며 이를 되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시케이허치슨은 지난 4일 중국·홍콩을 제외한 전세계 항만 사업에서 손을 떼기로 하고, 약 228억달러(약 33조5천억원) 규모의 관련 자산을 블랙록에 매각한다고 밝혔다. 여기엔 파나마 운하 항구 운영사 지분 90%도 포함됐다.



이후 중국의 압박이 이어졌다. 홍콩 당국은 최근 친중 성향의 매체 대공보의 기사를 게시해 시케이허치슨이 “국익을 해칠 수 있는 거래를 신중하게 처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앞서 이 거래에 대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격노설도 월스트리트저널이 보도했다. 시 주석은 파나마 운하의 항구 운영권을 관세전쟁을 시작한 미국과의 협상 카드로 활용하려 했지만, 시케이허치슨이 정부에 알리지 않고 매각을 공식화해 이 전략이 무산됐다는 것이다. 파이낸셜타임스는 “홍콩 기반 기업과 관련된 거래를 중국 국가기관이 나서 조사하는 것은 이례적”이라고 짚었다.



시케이허치슨과 블랙록의 거래가 완전히 취소된 것은 아니라고 외신들은 전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관계자를 인용해 4월2일로 예정된 최종 계약 서명은 진행되지 않을 것이지만, 이날은 거래 마감 시한이 아니라고 전했다. 두 기업이 거래 조건을 협상할 수 있는 기간은 100일 이상 남은 것으로 알려졌다.



베이징/이정연 특파원 xingxing@hani.co.kr



▶▶한겨레는 함께 민주주의를 지키겠습니다 [한겨레후원]

▶▶실시간 뉴스, ‘한겨레 텔레그램 뉴스봇’과 함께!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한겨레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