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공중보건의 감소로 농어촌 의료의 최후의 보루인 보건소가 흔들리고 있습니다.
올해 배치되는 공중보건의가 줄면서 지역 의료 공백은 갈수록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최황지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전역을 앞둔 공중보건의의 마지막 진료일, 보건소는 아침부터 북적입니다.
매주 목요일마다 진료를 보던 의사가 가면 이 보건소는 언제 다시 열지 환자들은 알 수가 없습니다.
"<여기는 이제 안 한다고?> 여기는 4월에 의사가 배치가 확정이 되면 다시 시작할 거예요."
공보의의 복무 만료로 발급에 시간이 걸리는 보건증 업무는 아예 중단됐고,
[인근 주민]
"학교 급식하는데 가려고 하는데 이게 필요하대, 보건증이. 그래서 거기 가려고 (발급받으려고 했는데…)"
만성질환자들은 다음에 오면 보건소가 문을 닫을까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환자]
"오늘 (공보의) 마지막이니까 약을 타러 왔죠. 3개월이 됐는지 안됐는지는 몰라도 지금 지어야 할 것 같은 생각이 들어… 당이 많이 높으니까."
공보의가 부족해 지난해부터 시 단위인 여수의 보건소도 처음으로 휴진일이 생겼습니다.
한 명의 공보의는 일주일에 3곳의 보건소를 돌며 순회 진료를 합니다.
환자들은 많고, 쉴 시간은 없어 사용하지 못한 휴가도 많습니다.
[00보건소 공보의 (음성변조)]
"저희가 너무 갈 곳이 많다 보니까 어쩔 수 없이 일주일에 한 번밖에 못 가고, 그마저도 공휴일이 끼어버리면 2주에 한 번 이렇게 될 때도 있으니까…"
섬 지역 공보의들의 사정은 더욱 열악합니다.
여수 관내 섬 보건지소 5곳에 배치된 20명의 공보의 중 19명이 올해 전출을 신청했습니다.
지역에서 빠져나가는 공보의는 많지만, 신규 인원은 감소하고 있습니다.
지자체는 한 명이라도 더 확보하려고 안간힘을 쓰지만, 공보의 감소는 불가피한 실정입니다.
다음 달 중순이면 공보의들이 신규 배치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의대생 집단 휴학과 의료계 사태 장기화에 따라 공보의 수는 갈수록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MBC뉴스 최황지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최황지 기자(we@ys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공중보건의 감소로 농어촌 의료의 최후의 보루인 보건소가 흔들리고 있습니다.
올해 배치되는 공중보건의가 줄면서 지역 의료 공백은 갈수록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최황지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전역을 앞둔 공중보건의의 마지막 진료일, 보건소는 아침부터 북적입니다.
"<여기는 이제 안 한다고?> 여기는 4월에 의사가 배치가 확정이 되면 다시 시작할 거예요."
공보의의 복무 만료로 발급에 시간이 걸리는 보건증 업무는 아예 중단됐고,
[인근 주민]
"학교 급식하는데 가려고 하는데 이게 필요하대, 보건증이. 그래서 거기 가려고 (발급받으려고 했는데…)"
[환자]
"오늘 (공보의) 마지막이니까 약을 타러 왔죠. 3개월이 됐는지 안됐는지는 몰라도 지금 지어야 할 것 같은 생각이 들어… 당이 많이 높으니까."
공보의가 부족해 지난해부터 시 단위인 여수의 보건소도 처음으로 휴진일이 생겼습니다.
한 명의 공보의는 일주일에 3곳의 보건소를 돌며 순회 진료를 합니다.
[00보건소 공보의 (음성변조)]
"저희가 너무 갈 곳이 많다 보니까 어쩔 수 없이 일주일에 한 번밖에 못 가고, 그마저도 공휴일이 끼어버리면 2주에 한 번 이렇게 될 때도 있으니까…"
섬 지역 공보의들의 사정은 더욱 열악합니다.
여수 관내 섬 보건지소 5곳에 배치된 20명의 공보의 중 19명이 올해 전출을 신청했습니다.
지자체는 한 명이라도 더 확보하려고 안간힘을 쓰지만, 공보의 감소는 불가피한 실정입니다.
다음 달 중순이면 공보의들이 신규 배치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의대생 집단 휴학과 의료계 사태 장기화에 따라 공보의 수는 갈수록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MBC뉴스 최황지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최황지 기자(we@ys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