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07 (월)

지자체도 잇따라 인공위성 개발…"우주항공 산업 육성"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우주사업은 지금까지 주로 중앙 정부가 주도해 개발을 해왔습니다. 그런데 최근에는 지방자치단체가 직접 인공위성 발사를 통해 우주개발에 나서고 있습니다.

왜 지자체에서 우주 사업에 뛰어든 건지, 김달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3, 2, 1."

액션. 로켓이 화염을 내뿜으며 하늘로 솟구칩니다.

지난 15일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발사된 이 로켓에는 경남 진주시가 15억 원을 들여 제작에 참여한 인공위성 진주샛 1B가 실려 있습니다.

우주로 날아간 진주샛 1B는 정상적으로 사출돼 로켓에서 분리됐고, 사출 5시간 20분 만에 지상과 교신에 성공했습니다.

지자체가 쏜 첫 인공위성이 지구 궤도를 돌기 시작한 겁니다.

조규일 / 경남 진주시장
"이번에 발사 성공은 초소형 인공위성 전체적인 산업 생태계의 완성을 위한 아주 처음 도입부를 성공적으로 이룬 거다."

대전시도 예산 54억 원을 들여 내년 누리호 5차 발사에 들어가는 소형 큐브위성 제작에 민간과 함께 참여했고, 부산시도 30억 원을 들여 소형위성인 '부산샛'을 개발해 올해 중 발사할 예정입니다.

우주 경제 규모가 2040년 27조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민간이 우주개발을 주도하는 뉴스페이스 시대가 열리기 시작했고, 지자체도 지역 기업들과 함께 이 시장에 뛰어들고 있는 겁니다.

김진혁 / 인공위성 제작 업체 실장
"지자체 위성 개발을 통해서 이제 각 기업 지방에 있는 이제 기업들에게 이런 기회들이 많이 제공이 되게 된다면, 해외 진출에 대한 그런 교두보들을 많이 확보를 할 수 있고…."

이렇게 지자체와 민간이 인공위성을 발사하는 과정에 참여하면서 인재를 키울 수 있고,

김해동 / 경상국립대 항공우주공학부 교수
"인공위성의 우주환경 시험하는 것을 옆에서 이제 바라보는 것 자체가 교과서로 이야기듣는 것과 굉장히 큰 차이가 있다…."

인공위성에 탑재된 수 많은 부품들이 우주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증명하면, 항공우주 산업에서 요구하는 자격증과 같은 '스페이스 헤리티지'도 얻을 수 있습니다.

김경희 /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우주부품시험센터장
"지상 검증만 가지고는 사실 우주에 쓸 수가 없어요. 지상 검증을 우주 검증까지 이제 같이 해 주는 거거든요."

지자체가 쏘아 올리는 작은 인공위성이, 성장하는 대한민국의 우주 산업에 더욱 힘을 보태고 있습니다.

TV조선 김달호입니다.

김달호 기자(daro@chosun.com)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