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안정화·대출 여력 확대
부동산업 불황 따른 기업 부실도 대비
중국 베이징에 있는 건설은행 지점. 베이징/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중국 정부가 경기부양책 실탄 마련에 나섰다. 교통은행과 중국은행, 중국우정저축은행, 중국건설은행 등 국영은행 4곳이 중국 본토 상장주식 유상증자를 통해 총 5200억 위안(약 105조 원) 자금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31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보도했다.
은행들이 28일 종가에서 8.8~21.5%의 프리미엄을 붙여 신주를 발행할 예정이다. 중국 재정부가 최대 투자자로 나서 총 5000억 위안 상당 주식을 인수한다. 매입 자금은 특별국채 발행으로 충당한다.
앞서 중국은 아시아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총 2700억 위안의 특별국채를 발행해 4대 국영은행에 자본을 투입했다. 이번에는 시진핑 국가주석 등 중국 지도부가 부동산 불황이 금융 리스크로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해 특별국채를 통한 자본 투입을 결정했다고 닛케이가 설명했다. 4개 국영은행의 증자 규모는 중국은행이 1650억 위안, 우정저축은행과 교통은행은 각각 1300억 위안, 1200억 위안이며 건설은행은 1050억 위안이다. 재정부 이외 통신·선박 관련 국유기업도 증자에 참여한다.
부동산 불황에 따른 기업 부실 등의 위험에도 대비하는 성격이 있다. 자기자본비율이 높을수록 부실채권 처리에 따른 손실 발생에 대응이 쉽기 때문이다. 중국 국가금융감독관리총국(금감총국) 집계에서 지난해 말 상업은행의 대출자산 중 부실채권 비중은 1.5%로 높은 수준은 아니지만 부동산업을 중심으로 잠재적 부실채권은 늘고 있다고 닛케이는 지적했다.
[이투데이/정영인 기자 (oin@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