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3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제36차 공중케이블 정비협의회’를 개최하고 ‘2025년도 공중케이블 정비계획’을 수립‧시행한다고 밝혔다.
공중케이블 정비사업은 지자체와 한국전력, 방송통신사업자 등이 참여하며, 도로나 건물 등에 거미줄처럼 얽혀 도시미관을 저해하고 주민들의 생활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전선이나 방송‧통신용 케이블 등을 한데 묶어 정리하거나 지하에 매립하는 사업이다.
올해 정비계획은 서울시 25개 자치구와 부산광역시 등 26개 자치단체의 355개 정비구역에서 전주 15만3673본(한전주 11만2653본, 통신주 4만1020본)을 정비하는 것으로 확정됐다.
최근 전북 군산시에서는 적재 높이를 위반한 크레인으로 인해 통신주가 쓰러져 초등학생이 다치는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했다. 과기정통부는 이와 같이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과 보행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위해 설비를 정비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또, 과기정통부는 정비사업자와 함께 지난해부터 국민 생활 안전을 위협하는 해지 후 방치된 케이블의 일제 철거 사업도 추진 중이다. 지난해 사업추진 결과, 방치된 케이블 수량이 당초 예상보다 많은 약 700만 회선으로 추정됨에 따라 중장기적 관점에서 해지케이블을 철거하겠다는 방침이다.
사업 첫해인 지난해 100만회선 해지케이블을 철거했고, 전국에 누적‧방치된 해지케이블을 모두 철거하기 위해 올해부터 오는 2027년까지 3년 간 매년 약 200만 회선을 철거할 계획이다. 오는 2028년부터는 서비스를 해지하면 30일 이내에 방문‧철거하는 주소기반철거 체계로 전환해 해지 케이블이 방치되지 않도록 관리한다.
과기정통부는 정비 이후에도 공중케이블이 재난립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하기 위해 ▲인입설비(인입전주-건물 구간 설비) 공용화 시범사업 ▲공동주 활용 시범사업 ▲HDD공법 활용한 지중화 시범사업 ▲인입관로 사전협의 절차개선을 추진하는 등 신기술 도입과 정책개선도 추진 중이다.
류제명 과기정통부 네트워크정책실장은 “우리나라를 정보통신기술(ICT) 강국으로 이끌었던 네트워크 인프라가 시간이 흘러 국민 안전을 위협하고 도시 미관을 해치는 요소가 돼서는 안될 것”이라며 “생활환경 주변에 어지럽게 설치된 방송‧통신용 케이블로 인해 국민 생활이 위협받지 않도록 정비사업자와 함께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