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中 스마트폰시장 1위 탈환 화웨이, 사상 두번째 매출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작년, 지능형 차량솔루션 급성장

美 첨단기술 제재에도 '테크굴기'

매출 175조원 역대 최대치 근접'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화웨이가 지난해 사상 두 번째 규모의 매출 실적을 기록했다. 테크 굴기를 내세워 스마트폰 시장에서 재도약하고 지능형 차량 솔루션 분야에서 폭발적인 성장을 이뤄낸 결과다.

화웨이는 31일 발표한 2024년 연례 보고서에서 지난해 매출액이 전년 대비 22.4% 증가한 8621억 위안(약 175조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2020년 사상 최대였던 8914억 위안에 근접한 수치다.

분야별 매출액 증가율을 보면 정보통신기술(ICT) 인프라 사업 4.9%, 단말기 등 터미널 38.3%, 클라우드 컴퓨팅 8.5%, 디지털 에너지 24.4%, 지능형 차량 솔루션 474.4%, 기타 79% 등으로 고르게 성장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독자 기술 개발의 성과가 매출 증가를 이끌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의 기술 제재로 2020년 2분기 세계 1위까지 올랐던 스마트폰 사업이 추락하며 매출 하락을 겪었으나 2023년 ‘메이트60프로’를 필두로 사업이 정상화되며 지난해 4분기 중국 내 스마트폰 시장점유율 1위를 탈환했다. 지난해 9월 세계 최초로 개발한 트리폴드폰(두 번 접는 폴더블폰)을 선보였고 같은 해 12월에는 두바이, 올해 2월에는 말레이시아 등에서 신제품을 출시하며 해외시장에서 영광을 재연하고 있다.

통신장비 분야에서도 화웨이의 5세대(5G) 장치는 전 세계 모바일 네트워크의 48%를 차지했다. 지난해를 5.5세대로 불리는 5G-A 상용화의 원년으로 삼고 전 세계 200개 이상 도시에 진출하는 기염을 토했다. 완성차 업체들과의 협업을 늘리고 있는 지능형 차량 솔루션 분야의 경우 지난해 첫 흑자를 냈다. 지난해 부품 출하량은 전년 대비 7배나 급증한 2300만 개를 기록했고 15개 파트너 모델이 시장에 출시됐다.

중국 기술 자립의 첨병으로 꼽히는 화웨이의 지난해 연구개발(R&D) 투자액은 1797억 위안(약 36조 원)으로 전년 대비 9.1% 증가했다. 연간 매출액의 약 20.8%를 차지하며 지난 10년 동안 누적 R&D 투자액은 1조 2490억 위안(약 253조 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 기준 R&D 직원은 약 11만 3000명으로 전체 직원의 54.1%를 차지했다.

순환회장을 맡고 있는 창업자 런정페이의 장녀 멍완저우는 “올해 화웨이는 다양한 관리 시스템과 사업 활동에서 품질로 승리를 더욱 강화하고, 품질 목표를 견지하며, 품질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베이징=김광수 특파원 bright@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서울경제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