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나테크 역습]
中 BOE, 마이크로 LED 본격 공급
대형·소형 디스플레이용 대량 생산
'차세대 기술' 속도…韓 업계는 신중론
"시장 개화 대응해 생태계 구축해야"
19일 경기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삼성전자 제56기 주주총회장 차세대 디스플레이 존에 마이크로 LED 제품이 전시돼 있다.(사진=공지유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31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LED 제조업체인 BOE HC세미텍은 최근 중국 광둥성 주하이시 진완구에서 마이크로 LED 제품 납품식을 개최했다. 대량 생산 체제를 구축하고 고객사에 공급을 본격화한 것이다.
BOE HC세미텍은 중국 최대 디스플레이 업체 BOE가 2022년 중국 LED 업체인 HC세미텍 지분을 인수한 뒤 이름을 바꾼 회사다. 진완구에서 6인치 웨이퍼 기반 마이크로 LED 신공장을 짓고 지난해 말부터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 BOE는 상업용 디스플레이를 비롯해 스마트워치 등 웨어러블 기기까지 대형·소형 디스플레이용 마이크로 LED 웨이퍼를 대량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마이크로 LED 시장은 BOE를 비롯해 중국 CSOT, 대만 AOU 등 중화권 기업들이 선제적으로 기술 투자를 하며 속도를 내고 있다. 현지 매체에 따르면 중국 이노비전 역시 이달부터 마이크로 LED 대량 생산 라인 시운전에 돌입했다.
마이크로 LED는 머리카락 두께보다 얇은 100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초소형 LED가 스스로 빛과 색을 내는 자발광 디스플레이다. 기존 액정표시장치(LCD)와 다르게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고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와 다르게 무기물 소재를 사용해 색이 번지는 번인 현상도 없다.
삼성디스플레이가 8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앙코르 앳 윈(Encore at Wynn) 호텔에서 진행한 ‘CES 2025’ 미디어 초청 행사에서 최초로 공개한 워치용 마이크로 LED.(사진=삼성디스플레이)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내 디스플레이 업계는 아직 연구개발(R&D) 단계에 머물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올해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5’에서 스마트워치용 마이크로 LED를 공개했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기업들은 아직까지는 마이크로 LED 상품성 등을 봤을 때 시장이 개화하지 않았다고 보고 양산까지는 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며 “당분간은 OLED에 집중할 것”이라고 했다.
시장 주도권을 뺏기지 않기 위해 국내 업계도 빠른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관계자는 “현재는 LED 관련 인프라가 중화권에 집중돼 있는 상황”이라며 “우리나라도 출발은 늦었지만, 아직 시장 개화까지 시간이 있는 만큼 마이크로 LED 관련 소재·부품·장비 생태계 구축에 속도를 내 (중국 기업들을) 따라잡을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