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활동·방과후수업, 사교육비 조사서 빠져
영유아 사교육비 조사 ‘정례화’해 관리 필요
#B(41)씨는 만 3세 둘째를 영어유치원에 보낼지 고민하고 있다. 영어는 초등학교 때 끝내놔야 중학교부터 다른 과목에 집중할 수 있다는 얘기를 들어서다. 초등학교 1학년생인 첫째 아이에겐 영어 공부를 입학 바로 직전에 시킨 터라 늘 미안한 마음이 있었다. 그러나 둘째를 영어유치원에 보내려면 아이들 사교육비로만 매달 300만원 이상이 필요하다.
지난 13일 서울 강남구 대치동 학원가에서 한 어린이가 학원으로 등원하고 있다.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처럼 조기 영어 교육에 대한 사회적 압박이 커지면서 초등학교 입학 전 유명 영어학원에 다니기 위한 ‘7세 고시’부터 영어유치원에 들어가기 위한 ‘4세 고시’까지 기승을 부리고 있다.
교육부 조사 결과 영유아 대상 교육비로 연간 3조원이 쓰이는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해당 조사에 어린이집 특별활동이나 유치원 방과 후 프로그램 등에 대한 비용은 빠져 ‘반쪽짜리’ 조사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전은옥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선임연구원은 “영유아 사교육비 조사는 영유아 사교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교육정책 수립에 필수적인 도구”라면서 “이번 조사는 단 1회의 조사만 이뤄진 데다 표본의 대표성에도 문제가 있다”고 평가했다.
이번 시험조사 결과는 국가 미승인 통계 자료다. 정부는 2017년에도 영유아 사교육비를 조사했으나, 이번처럼 시험조사 결과를 발표한 것은 처음이다.
그러나 이번 조사에선 어린이집 특별활동이나 유치원 특성화 프로그램 등이 조사 항목에서 제외됐다. 현재 사교육비는 영유아 기관 ‘밖’에서 받는 보충 교육비로 정의되면서 기관 내 프로그램 등의 비용은 포함되지 않았다.
3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영유아 사교육 문제 해결을 위한 사교육비 조사 추가 대책 제안 토론회’. 백승아 의원실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전 연구원은 “어린이집 특별활동에 참여하는 영유아는 66.2%, 유치원 방과 후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유아는 72.5%로, 많은 부모들이 기관 내 활동에 비용을 부담하고 있는데 사교육비 집계에서는 제외돼 실제 규모를 축소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대욱 경상국립대 교수(유아교육과)도 영유아 사교육비 조사 방법의 개선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 교수는 “사립유치원에서 학원을 운영하거나 유치원 옆 건물에서 다른 용도의 학원을 운영하는 등 경계에 있는 곳이 많다”며 “유치원과 학원 공동 운영 등에 대한 면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영유아 사교육비 문제는 단순한 수치보다 높은 비용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 문제를 분석해야 한다는 조언도 나왔다.
이예진 부산연구원 미래전략연구실 연구위원은 “영유아 사교육비 문제는 정보의 불확실성과 정보 부족, 공교육에 대한 신뢰 부족, 주변의 압력 등 누적된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적용된 결과”라며 “국가가 돌봄의 공적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는 구조적 결함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국윤진 기자 soup@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