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전국 제조업체 조사
배터리·車·반도체 등 업종 영향권
납품물량 감소, 수익성 악화 우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내달 2일 발표하는 상호관세와 내달 3일부터 부과되는 수입산 자동차 25% 관세를 앞둔 31일 경기도 평택항에 수출용 차량이 세워져 있다. [연합]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고은결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 상호관세를 발표 예정인 가운데, 국내 제조업체 10곳 중 6곳은 관세 리스크에 직·간접적으로 노출돼 있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전국 제조업체 2107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우리 제조기업의 미 관세 영향 조사’에 따르면, 국내 제조기업의 60.3%는 트럼프발(發) 관세 정책의 직·간접 영향권에 있다고 응답했다. ‘간접 영향권에 있다’고 응답한 기업이 46.3%, ‘직접 영향권에 있다’는 응답은 14.0%였다.
영향권에 속한 기업들은 ‘미국 수출기업에 부품·원자재 납품하는 기업’(24.3%)과 ‘미국에 완제품 수출하는 기업’(21.7%)이 가장 많았다. 뒤이어 ‘제3국(중국·멕시코·캐나다 제외) 수출 및 내수기업’(17.9%), ‘미국에 부품·원자재 수출기업’(14.2%), ‘중국에 부품·원자재 수출기업’(13.8%) 등 순이었다. 미국에 직접 수출하는 기업뿐만 아니라 미 관세 대상국 이외의 국가와 국내 시장에서 중국 등과 경쟁하는 기업, 중국에 부품과 원자재를 수출하는 기업들도 간접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이다.
[대한상공회의소 자료]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울러 국내 기업들은 미국 관세의 영향으로 ‘납품물량 감소(47.2%)’를 가장 많이 우려했다. 미국에 직접 수출하지 않더라도 간접 영향권에 속한 기업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미국에 직접 수출하는 기업들이 우려하는 ‘고율 관세로 인한 수익성 악화’(24.0%)를 꼽는 답변도 많았다. 이외에 ‘미국시장 내 가격경쟁력 하락’(11.4%),‘부품·원자재 조달망 조정’(10.1%),‘납품단가 하락’(6.2%) 등 답변이 이어졌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3월 26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 집무실에서 기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AP]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특히 중소기업들의 대응계획이 부족헸다. 영향권에 있는 중소기업 4곳 중 1곳은 ‘대응계획이 없다’(24.2%)고 답했고, ‘생산코스트 절감’이나 ‘관세회피 대응책’을 마련 중인 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이었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미국 관세가 본격 현실화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 제조기업들은 대미 수출뿐만 아니라 중국의 저가공세 등의 간접영향까지 더해져 경영상 큰 타격이 불가피할 것”이라며 “민간 네트워크와 외교 채널을 통해 관세 영향 최소화에 힘쓰고 피해 업종에 대한 지원책을 세우는 한편, 장기적으로는 기업환경 개선 노력도 지속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