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상품 거래소(COMEX)에서 금 선물 6월물은 트로이 온스(1ozt=31.10g)당 전날보다 1.2% 오른 3150.30달러에 마감됐다. 금 현물은 장중 3128.06달러까지 올라 역대 최고치를 새로 쓴 뒤 장 후반 전날보다 1% 상승한 3116.94달러를 기록했다.
하이릿지 퓨처스 금속거래 담당이사 데이미드 미거는 "관세 관련 불확실성이 계속되면서 주식 시장이 타격을 입고, 안전 자산 수요가 다시금 금 시장으로 유입되고 있다"면서 "기술적으로 차익 실현이 나오는 저항선에 부딪혀 가격이 다소 후퇴할 수는 있지만 전반적인 강세 트렌드는 유효한 모습"이라고 분석했다.
금괴 [사진=블룸버그]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해 27% 올랐던 금값은 올해 들어서만 18% 정도 상승한 상태로, 유리한 통화정책 여건, 중앙은행들의 활발한 금 매입 및 상장지수펀드(ETF) 수요 등이 가격을 함께 떠받치고 있다.
국제 유가는 러시아와 이란산 석유 공급 차질 우려로 2% 넘게 올랐다.
브렌트 유종과 WTI 유종 간 스프레드는 배럴당 3.02달러로 축소되며, 2024년 7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애널리스트들은 브렌트 유종의 WTI 대비 프리미엄이 배럴당 4달러 아래로 떨어지면, 에너지 기업들이 미국산 원유를 선적하기 위해 대서양을 건너는 것이 경제적으로 큰 이점이 없다고 보고 있으며, 이는 미국의 원유 수출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요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 "화가 났다"고 말하며, 만약 러시아가 트럼프의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 노력을 방해한다고 판단되면 러시아산 원유 구매자들에게 25~50%의 2차 제재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크렘린궁은 월요일, 러시아와 미국이 우크라이나에서의 평화 정착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러시아산 원유의 주요 구매국인 중국과 인도가 미국의 이러한 2차 제재에 협조할지가 핵심 변수로 작용할 것이며, 이들의 동의 없이는 세계 2위 원유 수출국인 러시아의 원유 수출에 심각한 타격을 주기는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또한 일요일, 이란이 미국과 핵 협상을 타결하지 않을 경우 폭격 및 2차 제재를 가하겠다고 위협했고, 이에 대해 이란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는 월요일 "미국이 트럼프의 위협을 실행에 옮길 경우 강력한 반격을 당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IG 애널리스트 토니 시카모어는 시장이 트럼프가 실제로 관세를 부과하지 않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면서 "만약 이 관세가 시행될 경우, 이는 글로벌 경기 성장과 원유 수요에 부담을 주는 또 하나의 무역전쟁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kwonjiun@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