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북미 책임자 딜러들에게 메모
"미국투자에 대한 확신 가지고 있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외국산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공식화한 27일 경기도 평택항에 수출용 자동차들에 세워져 있다. (사진=연합)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데일리 정다슬 기자] 현대차(005380)가 오는 3일(현지시간)부터 부과되는 25% 자동차 관세에 대응해 미국 딜러들에게 가격 상승을 예고했다.
31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현대자동차와 제네시스 북미법인 최고경영자인 랜디 파커는 딜러들에게 보낸 메모에서 “현재 차량 가격은 보장되지 않으며 4월 2일 이후 도매되는 차량은 가격이 변경될 수 있다”고 밝혔다.
파커 CEO는 “관세는 쉽지 않다”며 이런 가격 변경 검토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에 따른 것임을 시사했다. 그러면서도 파커 CEO는 “우리가 멕시코와 캐나다로부터의 수입에 크게 의존하지 않는다는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라며 “우리는 미국 투자에 대한 확신을 가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현대차는 지난 24일 5년간 210억달러에 이르는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분야별로 자동차 생산 86억달러, 미래 산업 및 에너지에 63억달러, 부품·물류·철강에 61억달러 등을 투자해 철강부터 부품, 완성차 조립에 이어지는 일련의 자동차 생산 프로세스를 미국에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다만 이같은 막대한 투자에도 현대차는 26일 발표된 25% 자동차 관세에서 예외를 적용받지는 못했다.
자동차 관세가 부과되면 미국 자동차 가격이 크게 오를 것으로 예상되지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NBC와의 인터뷰에서 “그다지 상관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는 “외국산 자동차 가격이 오르면 소비자들이 미국산 자동차를 살 것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자동차 딜러들에 따르면 현재 미국 자동차 시장엔 평균 60~90일 분량의 재고가 있어 관세 인상의 즉각적인 충격을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관세가 장기화되면서 가격 인상은 피할 수 없다는 전망이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