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학교는 최상일 화학과 교수팀이 기존의 상용 전극보다 수소 생산 효율을 2배 높인 초친수성 전극을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수전해 기술은 물을 전기분해해 그린수소를 생산하는 핵심 기술이다. 여러 수전해 방식 중 '음이온 교환막 수전해(AEMWE)' 방식은 저비용으로 높은 수소 생산 효율을 기대할 수 있지만, 전극 표면에 기포가 쌓이는 문제는 성능 저하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어 왔다.
'니켈-철 나노입자'는 수전해 반응에 잘 알려진 촉매이나 기존에는 물과 친하지 않은 소수성 전극에 부착돼 원래의 성능을 잘 발휘하지 못했다.
수소 생산 효율을 두 배 이상 끌어올린 초친수성 전극을 개발한 연구팀. 왼쪽부터 최상일 경북대 교수, 제1저자 경북대 화학과 샤자한 샤이크 박사과정생, KIST 김정현 박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연구팀은 초친수성인 '티타늄 산화물 나노튜브' 위에 '다공성 니켈-철 나노입자'를 전착해 초친수성 전극을 제작했다. 이 전극은 전해질이 쉽게 달라붙어 수전해 중에 발생하는 수소와 산소 기포를 신속하게 제거해 수소 생산 효율이 크게 올라갔다.
음이온 교환막 수전해 모식도(왼쪽위), 초친수성 전극의 전류밀도 결과,(오른쪽 위), 아래는 1500 시간 동안의 안정성 실험 결과 그래프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최상일 교수는 “지금까지는 수전해 성능 향상을 위해 주로 촉매 자체의 활성도를 높이는 연구에 집중되어 왔다. 하지만 촉매를 부착하는 전극 소재의 화학적 특성이 반응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연구도 필수적이다. 이번 연구는 초친수성 전극 소재의 성질을 최적화해 수소 생산 성능을 극대화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대구=정재훈 기자 jhoon@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