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6월4일 저녁 홍콩섬 빅토리아공원에서 열린 천안문 민주화운동 유혈진압 30주년 추모집회에 참석한 홍콩 시민들이 촛불을 들고 있다. 홍콩에서 ‘6·4 촛불집회’가 열린 것은 이때가 마지막이다. 홍콩/AP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국이 홍콩 자치권 침해와 민주주의 탄압에 관여했다고 판단한 중국과 홍콩 고위 관리들 제재에 나섰다. 홍콩 문제에 대해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내린 첫 조처다.
31일(현지시각) 로이터, 에이피(AP) 통신 등은 미국 국무부가 이날 성명에서 “중국과 홍콩 당국은 홍콩 국가보안법을 국외까지 적용해 민주화 활동가 19명을 위협하고 침묵시키고 괴롭혔다”며 중국과 홍콩 관리 6명에 대한 제재 방침을 밝혔다고 보도했다. 이 6명의 관리가 홍콩 자치권을 훼손하는 행위·정책에 관여했고, 민주화 인사를 탄압했다는 게 미국 정부 설명이다. 미국이 언급한 민주화 활동가에는 미국 시민 1명과 영주권자 4명이 포함됐다고 알려졌다. 중국은 2020년 홍콩 국가보안법 시행을 강제해 홍콩 정부가 민주화 운동 활동가들을 구금하고, 언론과 시민단체들을 탄압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아 왔다.
제재 대상에는 중국 국가안전부 고위직 출신인 둥징웨이 홍콩 국가안보처장이 포함됐다. 폴 램 홍콩 법무부 장관과 레이먼드 시우 홍콩 경찰청장도 제재 명단에 올랐다. 미국 국무부는 이들의 미국 내 자산을 동결하고, 거래를 차단하겠다고 했다.
중국과 홍콩 당국은 즉시 반발했다. 주홍콩 중국 외교부 판공실은 성명을 내어 미국의 제재는 홍콩 번영과 안정을 해치는 “비열한 행위”라고 비난했다. 홍콩 정부도 성명에서 “미국 패권 아래 드러난 야만성을 명확하게 보여준다”며 “인권과 민주주의를 위한다는 명목으로 가해진 ‘제재’는 미국의 위선과 이중잣대를 보여주는 행위”라고 밝혔다.
한편,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부 장관은 이날 별도 성명에서 “중국 공산당은 오랫동안 미국 외교관, 언론인 등이 티베트 지역에 접근하는 것을 막고 있다”며 이에 대한 보복으로 비자 제한 조처를 했다고 밝혔다. 비자 발급 제한을 받는 대상은 미국인의 티베트 접근을 막는 정책에 관여한 중국 관리들로, 성명에서 이름은 공개하지 않았다.
베이징/이정연 특파원
xingxing@hani.co.kr
▶▶한겨레는 함께 민주주의를 지키겠습니다 [한겨레후원]
▶▶민주주의, 필사적으로 지키는 방법 [책 보러가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