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은행 가계대출 주택담보대출 증감 추이/그래픽=윤선정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가계대출 증가세가 지난달 소폭 둔화했으나 은행들은 긴장을 늦추지 못하고 있다. 서울시가 지난 2월 실시한 토지거래허가제 해제 영향이 시차를 두고 서서히 은행권의 대출 실행액에 반영되기 시작하면서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달 말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38조5511억원으로 한 달 동안 1조7992억원 증가했다. 지난 2월 3조931억원 증가했던 것과 견줘 60% 수준이다. 같은 기간 주담대와 전세대출은 각각 2조3198억원, 5277억원 늘어 마찬가지로 전월 대비 증가폭이 3분의 2 수준으로 줄었다.
연초 가계대출 수요와 새학기 신규 대출 수요 등에 지난 2월 가계대출 급증세를 경험한 은행들이 대출 관리를 강화한 영향이다. 금융당국의 총량 관리 압박에 은행들이 신청 단계부터 꼼꼼하게 대출을 심사했다. 분기 말이라서 은행들이 부실채권 등을 상각하기도 했다.
오히려 경계심을 더 높일 때라고 진단했다. 특히 토허제 해제 이후 늘어난 주택 거래량이 은행들의 대출 총량 관리 노력에도 불구하고 대출 실행으로 연결되기 시작했다. 주택 매매 계약부터 대출 실행까지는 약 한 달 이상의 시차가 발생한다. 서울시가 토허제 해제를 발표한 날(2월12일)을 고려하면 3월 중·하순부터는 대출 실행액으로 반영된다는 분석이 가능하다.
금융당국 수장들도 토허제 해제가 가계대출에 미칠 영향을 따져보고 있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지난달 26일 "2월 수치는 관리 목표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고 3월은 증가폭이 줄었다"면서도 "집을 계약하고 보통 1~2개월 있다가 대출 승인이 나기 때문에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이날 임원회의에서 "서울·수도권 일부 지역의 주택가격과 거래량 단기 급등에 따른 영향이 시차를 두고 나타날 수 있다"며 "3월 후반부터 가계대출에 점차 반영되고 있으므로 지역별 대출 신청·승인·취급 등을 보다 면밀히 점검해달라"고 지시했다.
서울시와 정부가 이후 '3.19. 부동산 대책'으로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와 용산구로 토허제를 확대 재지정하면서 은행권은 이달 들어 강하게 대출을 옥죄기 시작했다. 일부 은행들은 곧바로 서울·수도권 지역의 유주택자 신규 주담대와 조건부 전세대출을 막았다. 대출 총량 관리가 시급해지면서 당분간 대출금리 인하도 기대하기 어려워졌다.
이병권 기자 bk223@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