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근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파이낸셜뉴스] 지역 커뮤니티 플랫폼 당근이 중소기업 졸업 수순을 밟는다. 광고 매출을 기반으로 빠른 성장을 이뤄낸 당근이 인공지능(AI) 기술 도입과 글로벌 공략으로 스타트업 성공 신화를 이어갈지 기대를 모으고 있다.
1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당근마켓은 지난해 기준 관련법상 매출액 규모를 넘어 올해부터 중소기업 졸업 유예에 들어가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2015년 서비스를 시작한 지 10년 만이다. 중소기업 졸업 유예제도는 기업이 중소기업 기준을 초과하더라도 일정 기간 동안 중소기업 지위를 인정해주는 제도로, 당근마켓은 이를 통해 2029년까지 세제 및 금융 혜택을 유지하며 중견기업 전환을 준비할 수 있게 됐다. 지난해 관련 제도 개정으로 유예 기간이 기존 3년에서 5년으로 늘어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당근마켓의 고속 성장세가 두드러진다. 지난해 별도 기준 영업이익은 376억원으로 전년 대비 약 3.8배 증가하며 2년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매출도 전년보다 48% 늘어난 1891억 원을 달성했다. 연결 기준으로도 영업이익 25억원, 당기순이익 84억원을 기록하며 사상 첫 흑자를 냈다.
특히 광고 부문이 당근마켓 매출 성장을 이끈 핵심 동력으로 평가된다. 지난해 기준 전년 대비 광고주 수는 37%, 집행 광고 수는 52% 증가했고, 광고 매출 역시 48% 늘어났다. 지역 밀착 마케팅 수요가 커지면서 당근마켓은 앱 내 개인화 광고와 소상공인 지원 등을 결합해 시너지를 높이고 있다. 여기에 구인구직 플랫폼 '당근알바', 지역 기반 커뮤니티 '당근 모임', 숏폼 콘텐츠 '당근 스토리' 등 다양한 서비스가 성과를 내며 이용자 접점을 확대했다. 현재까지 누적 가입자 수는 약 4300만명, 주간 방문자 수는 1400만명에 이른다.
당근 관계자는 "중소기업 매출액 요건을 초과 달성한 것은 맞다"며 "작은 규모의 회사가 충분히 성장할 수 있도록 5년간 유예 기간이 적용되어 2029년까지 중소기업 지위를 유지하게 됐다"고 밝혔다.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