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주한미군 공식 X(구 트위터) 계정은 한 이용자가 한글로 “산불에 간첩이나 중국이 연관 있으면 바로 데프콘 계엄 미군투입 가능”이라고 쓴 게시물에 “부정확한 정보를 퍼뜨리지 말라(Don’t spread incorrect information)”이라고 답글을 달았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에 해당 글 작성자가 “가정적 상황에 이렇게 답글을 다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고 하자 주한미군 계정은 “의견들은 대중의 사실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 이 게시물에 누군가 주한미군을 태그했기에 가짜 정보가 퍼지지 않도록 답을 단 것” 등으로 설명을 이어갔다.
특히 이 계정은 설명 마지막 부분에 “미군은 한국의 비상계엄 명령에 따를 수 없으며, 지난 12월에도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세계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해당 계정은 실제 주한미군 공식 계정이 맞는 것으로 파악된다. SNS를 통한 가짜뉴스나 여론 조작 시도가 만연해지는 것을 감안해 부정확한 정보에는 이와 같은 직접적이고 단호한 대응이 이뤄지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기존에는 사람들이 인터넷에서 남기는 의견이나 논평의 영역일 경우 정부 기관 등이 팩트체크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들어 유튜브나 SNS 등의 뉴미디어 플랫폼이 허위 정보 양산의 주요한 무대가 되면서 단순 의견인 것과 특정 목적을 가진 캠페인성 의견을 구분해 엄중히 대응하는 기조가 해외에서는 나타나고 있다. 이번 주한미군 공식 계정의 대응도 그런 차원의 선제적 개입인 것으로 분석된다.
정지혜 기자 wisdom@segye.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