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는 1일 A씨가 국립외교원 및 외교부 직원으로 채용되는 과정에 특혜가 있었다는 야당의 의혹 제기에 대해 감사원에 공익 감사를 청구했다고 밝혔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홍기원(왼쪽), 이재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3월 31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심우정 검찰총장 자녀 특혜 채용 의혹 관련 외교부의 자료 제출과 공수처 수사 등을 촉구하며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스1 |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검찰총장 자녀의 외교부 공무직 근로자 채용과 관련해 제기된 문제에 대해 객관적인 판단을 구하기 위해 감사원에 공익 감사를 청구했다"고 밝혔다. 이어 "감사원 감사가 결과가 나올 때까지는 채용에 대한 결정은 유보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외교부에서 채용 관련 논란이 발생해 감사원에 공익 감사를 청구하거나 채용을 취소하는 일 등은 전례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가 올해 초 공무직 채용 공고를 한 차례 진행했다가 최종합격자가 나오지 않았고, 다시 진행한 재공고에서 A씨의 전공과 맞게 지원자격이 바뀐 점이 주요하게 지적됐다. 채용 시 통상 경력으로 인정하지 않는 인턴, 조교 근무 등을 모두 유효하게 산정했다는 점도 편의를 봐 준 것이란 논란을 낳았다.
외교부의 설명만으로 논란이 잠재워지지 않자 공익 감사를 통해 보다 객관적인 판단을 받고자 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A씨의 취업특혜 논란이 법이나 채용 절차상 문제가 없었다고 감사원 판단이 나오더라도 의혹이 말끔히 해소될지는 의문이 제기된다. 애초에 A씨를 둘러싼 국민적 공분의 핵심은 ‘검찰총장이라는 부모의 배경’이 정말 채용과 아무런 상관이 없었느냐는 것인데, 이것이 유형의 증거만으로 입증되는 영역이 아니라서다.
예컨대 A씨가 국립외교원 인턴직을 퇴사할 때 담당 과장으로부터 받은 문자 등은 일반적으로 과장이 퇴사하는 인턴에게 보내는 문자라기엔 너무 공손하고 내용도 길다는 반응이 지배적이다.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