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범수 농식품부 차관 감축상황 점검
박범수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이 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벼 재배면적 조정제 추진상황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부가 올해 벼 재배면적 8만 헥타르(ha) 감축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행이 낮은 지자체는 정부의 각종 사업에 배제하는 초강수를 뒀다.
박범수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은 1일 벼 재배면적 조정제 추진상황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올해 벼 재배면적 감축 실적이 우수한 지자체는 각종 정부 지원사업에서 우대하고 부진한 지자체에 대해서는 지원을 제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전국 16개 시·도 농정국장, 쌀 생산자 단체, 한국RPC협회, 전국RPC연합회, 대한곡물협회, 농협경제지주 등이 참석했다.
정부는 만성적인 쌀 공급과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올해 8만㏊ 감축을 목표로 ‘벼 재배면적 조정제’를 추진 중이다.
현재는 각 지자체에서 필지 단위로 세부적인 감축계획(면적)을 시스템에 입력하고 있다. 감축 유형별로 대상 필지의 감축면적이 확정돼야 실질적인 감축 이행이 가능한 만큼 지자체의 속도감 있는 추진이 필요하다.
식량, 농촌개발 등 관련 지원사업 25개에 대해 벼 재배면적 감축 실적을 평가 지표로 추가하고 실적이 우수한 지자체를 우대하는 내용을 해당 사업지침에 반영한다. 아울러 이행률이 낮은 지자체에 대해서는 향후 공공비축미, 시장격리 등 정부 비축‧매입에서 배제한다.
박범수 차관은 필지 단위별로 구체적인 감축면적 확정이 조속히 마무리될 수 있도록 지자체의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했다.
정부가 벼 재배면적 감축에 초강수를 둔 것은 올해도 줄어들지 않는다면 초과 생산에 따른 쌀값 하락 문제가 반복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쌀 산업은 소비가 생산보다 가파르게 감소하는 구조적 공급과잉 상태로 매년 20만 톤 이상의 쌀이 초과 생산되고 있다. 2021년부터 4년 연속으로 과잉 생산된 쌀 총 120만 톤을 매입했고 이를 위해 2조6000억 원의 재정을 투입했다.
[이투데이/세종=곽도흔 기자 (sogood@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