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지난달 한국의 수출이 늘어 2개월 연속 플러스 성장을 이어갔습니다.
다만,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가 본격화하면서 향후 수출 전망이 맑지만은 않습니다.
배진솔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3월 수출액은 582억8천만 달러입니다.
지난해 같은 달보다 3.1% 증가했습니다.
2월에 이어 두 달 연속 증가세입니다.
주력 품목인 반도체가 12% 늘었고, 컴퓨터와 무선통신기기 같은 다른 IT 품목의 수출도 모두 증가했습니다.
반도체와 함께 양대 수출 품목인 자동차는 소폭 증가했습니다.
전기차 수출이 크게 줄었지만, 하이브리드와 내연기관차에서 받쳐줬습니다.
지역별로는 중국으로 가는 수출이 4% 감소한 반면, 미국으로 가는 수출은 2% 증가했습니다.
다만, 1분기 전체 수출액은 1,599억달러로 1년 전보다 2.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국 정부가 3월부터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25% 관세와 함께 이달 상호관세와 품목별 관세 부과를 예고한 상황에서 수출 둔화 흐름이 시작된 것으로 보입니다.
<박정성/ 산업통상자원부 무역투자실장> "자동차 품목의 경우 3월 한 달만 보더라도 11%대 (대미) 수출 감소가 있었습니다. 불확실성이라는 영향이 있었다고 봅니다. 관세가 바로 가격이나 계약에 영향을 미치진 않았지만 수출 전망도 불확실성 또는 흐림으로 표현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정부는 불확실한 통상 환경을 해소하기 위해 총력 지원에 나선다는 방침입니다.
연합뉴스TV 배진솔입니다.
#수출 #자동차 #반도체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배진솔(sincere@yna.co.kr)
지난달 한국의 수출이 늘어 2개월 연속 플러스 성장을 이어갔습니다.
다만,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가 본격화하면서 향후 수출 전망이 맑지만은 않습니다.
배진솔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3월 수출액은 582억8천만 달러입니다.
2월에 이어 두 달 연속 증가세입니다.
주력 품목인 반도체가 12% 늘었고, 컴퓨터와 무선통신기기 같은 다른 IT 품목의 수출도 모두 증가했습니다.
반도체와 함께 양대 수출 품목인 자동차는 소폭 증가했습니다.
지역별로는 중국으로 가는 수출이 4% 감소한 반면, 미국으로 가는 수출은 2% 증가했습니다.
다만, 1분기 전체 수출액은 1,599억달러로 1년 전보다 2.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국 정부가 3월부터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25% 관세와 함께 이달 상호관세와 품목별 관세 부과를 예고한 상황에서 수출 둔화 흐름이 시작된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는 불확실한 통상 환경을 해소하기 위해 총력 지원에 나선다는 방침입니다.
연합뉴스TV 배진솔입니다.
#수출 #자동차 #반도체
배진솔(sincere@yna.co.kr)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