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이후 다가올 3대 악재
육군 50사단 영덕서 복구 작업 - 1일 경북 영덕군 영덕읍에서 육군 50사단 장병들이 산불 피해 복구 작업을 하고 있다. 불길에 새카맣게 타버린 광어 양식장 건물이 보인다. 지난달 영남 지역 곳곳에서 발생한 산불로 산림 등 4만8000ha가 불탔다. /김동환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경북 의성, 경남 산청 등에서 번졌던 사상 최악의 산불은 꺼졌다. 산림 전문가들은 조만간 닥칠 ‘3대 리스크(위험)’에 대비해야 한다고 했다. 3대 리스크로 산사태와 재선충, 한식·청명을 꼽았다.
◇산불 지역, 산사태 발생 위험 200배
1일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산불이 났던 산은 보통 산보다 산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200배 높았다.
산림과학원이 2000~2010년 10년간 전북 남원 지역을 대상으로 추적 분석한 결과다.
보통 산은 10년간 전체 면적의 0.05%만 산사태로 무너진 반면, 산불이 났던 산은 10%가 무너져 내렸다. 산림 당국 관계자는 “산불이 난 산이 산사태에 200배 더 취약하다는 의미”라고 했다.
그래픽=백형선 |
2001~2020년 20년간 전국에서 발생한 산사태는 총 1만614건이었는데, 이 중 962건(9.1%)이 산불 피해 지역에서 발생했다. 전체 산지 629만ha 중 산불 피해 면적은 1140ha로 0.02%에 불과했는데 여기서 산사태 10건 중 1건이 발생했다는 얘기다.
산림청 관계자는 “경북에는 소나무 뿌리가 돌덩이를 붙잡고 있는 경우가 많아 아슬아슬한 상황”이라며 “불과 두 달 뒤면 장마철이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했다.
채희문 강원대 산림과학부 교수는 “앞으로 두 달간 산불 피해 복구 작업과 산사태 예방 작업을 동시에 할 필요가 있다”며 “통나무와 바위를 산 구석구석에 울타리처럼 쌓으면 응급 처치는 할 수 있다”고 했다.
◇재선충병 창궐 가능성
소나무 재선충병도 문제다. 재선충은 소나무 등 침엽수에 기생하는 약 1㎜ 크기의 벌레다. 나무의 수분 통로를 막아 감염된 소나무는 결국 고사(枯死)한다. 번식력이 강해 재선충 한 쌍이 20일 뒤엔 20만 마리 이상으로 불어난다고 한다.
이번 산불이 나기 전 경북 지역은 재선충병이 확산해 골치가 아팠다. 산림청 관계자는 “소나무가 대부분 불에 탔으니 재선충도 사라질 것이라는 생각은 오해”라며 “일부 살아남은 솔수염하늘소가 더 빠르게 늘어나 재선충병을 퍼뜨릴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솔수염하늘소는 죽은 나무 속에 알을 낳는데 알을 낳을 고목이 산불로 늘어어났다. 솔수염하늘소는 불탄 숲 주변의 건강한 숲까지 날아다니며 재선충을 퍼뜨린다. 그리고 불타 죽은 나무에 다시 알을 낳는다.
남성현 전 산림청장은 “산불로 솔수염하늘소가 알을 낳을 수 있는 죽은 나무가 더 많아졌고 천적이나 경쟁자도 사라졌다”며 “불타 죽은 숲을 번식처나 거점으로 삼아 주변의 건강한 숲까지 잠식하는 것”이라고 했다.
◇청명·한식에 “입산 전면 금지”
오는 4일은 청명, 5일은 한식이다. 청명과 한식에는 성묘하는 사람이 많아 실화(失火) 우려가 크다. 산림청에 따르면, 2015~2024년 4월 하루 평균 3.7건의 산불이 발생했는데, 4월 4~5일에는 하루 평균 5건 산불이 났다.
산림청 관계자는 “특히 이번 한식은 주말이라 산을 찾는 성묘객이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며 “날이 건조한 데다 바람까지 불어 걱정”이라고 했다.
[최연진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