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투데이 窓]인공지능이 그리는 '지브리'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임대근 한국외대 컬처?테크융합대학장(한국영화학회장)



'지브리'가 소셜미디어를 점령했다. X(옛 트위터)와 인스타그램에 온통 지브리가 넘쳐난다. '챗GPT-4o 이미지 생성' 모델이 공개된 뒤 벌어진 현상이다. 생성형 AI(인공지능)는 원본 이미지를 다른 이미지로 바꾸는데 유감없는 능력을 발휘한다. 오픈AI 최고경영자 샘 올트먼은 X 계정의 프로필 사진을 지브리 스타일로 바꿨다. 그러고 나서 지브리 열풍이 불자 "GPU(그래픽처리장치)가 녹아내리고 있다"면서 "우리 팀도 자야 하니 다들 이미지 생성을 좀 자제해달라"고 너스레를 떨었다.

생명을 존중하고 폭력에 반대하는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예술적 세계관과 정교한 작화 스타일은 오랜 시간 장인의 손끝에서 완성됐다. 하지만 이제 인공지능은 비슷한 스타일의 그림을 뚝딱 그려낸다. '생성의 충격'이라 부를 만하다. 이를 두고 저작권 문제, 기술의 진보, 표현의 자유, 창작의 권리, 문화적 감수성에 관한 논란이 분분하다.

당장 저작권 문제가 떠올랐다. 오픈AI가 지브리스튜디오와 계약을 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특정한 스타일은 저작권의 보호대상이 아니라며 문제 될 게 없다는 입장이 대세인 듯하다. 그러나 챗GPT가 지브리 애니메이션을 대규모로 학습했는지, 그 과정에서 승인을 받았는지와 같은 쟁점이 말끔히 해소되지 않는다면 저작권 위반이라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이런 현상을 지나치게 무겁게 볼 일은 아니다. 소셜미디어를 뒤덮은 지브리는 일종의 유희다. 그것은 밈(meme)이다. 사람들은 자신은 물론 가족과 친구의 얼굴, 고양이의 몸짓, 퇴근길 풍경까지 지브리 스타일로 바꾸면서 일상의 단면을 새로운 정서로 다시 감싼다. 이는 애니메이션이라는 서사의 복제가 아니라 감성의 기호화다. 미야자키 하야오의 세계관이 아니라 그 감각이 빠르게 유통된다. 그것은 철학을 담은 서정적 판타지가 아니라 인터넷 밈이라는 유희의 재료가 된다.

이는 지브리스튜디오와 미야자키 하야오에 대한 오마주이기도 하다. 사람들은 자신의 이미지를 바꾸는 과정을 통해 그 스타일과 세계관에 경의를 표한다. 동시에 자신의 정서와 이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즐거움을 찾는다. 원본을 훼손하거나 대체하려는 시도가 아니라 대중의 기억 속에 내재한 애정과 존경을 기술적으로 번역해내는 '디지털 헌사'라고 할 만하다. 이를 통해 역설적으로 지브리의 권위가 방증된다.

지브리는 지금, 해체되고 있다. 기술의 진보에 반응한 대중의 선택 때문이다. 발터 베냐민이 말한 '아우라의 소멸'은 이제 더욱 빠르고 경쾌하게 일어난다. 원본 없는 복제, 맥락에서 벗어난 이미지, 애니메이션이 아닌 '유사 애니메이션'을 통해 폭넓은 예술의 민주화가 일어난다. 대중은 자신의 사진을 지브리 스타일로 바꾸며 그럴듯한 향수를 입는다. 무의식의 놀이, 감성의 자동번역 과정을 거치면서 의미는 희미해지고 미학은 알고리즘이 된다.

우리는 왜 '지브리처럼 보이는 것'을 즐기는가. 기억과 정서를 소환하고 공유하기 위해서다. 지브리 스타일은 특정 세대의 향수코드다. 인공지능은 그 향수를 모두가 공유할 수 있는 시각 언어로 바꾸어준다. 따라서 이 열풍은 단순히 창작의 윤리나 기술의 진보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다. 그것은 '정서의 민주화'라는 새로운 문화적 흐름의 일부다.

이제 지브리는 더 이상 이야기의 형식이 아니라, 이미지의 문법이 됐다. 그 문법은 누구나 차용할 수 있는 밈의 언어로 번역되고 있다. 여기서 우리는 원본과 복제, 창작과 번역, 의미와 유희 사이의 새로운 문화적 지형을 목격하게 된다. 지브리를 그리는 인공지능은 더 이상 위협도, 감탄도 아니다. 기술복제의 시대, 창작은 해체를 거쳐 다시 번역된다. 우리는 그 속에서 무엇을 간직하고, 무엇을 흘려보낼지 물어야 한다.

임대근 한국외대 컬처?테크융합대학장?한국영화학회장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머니투데이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