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쇼핑은 사용률 80%로 가장 높아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 문재원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해 삼성전자의 육아휴직 사용자 수가 5000명에 육박하며 매출액 상위 100대 기업 중 가장 높았다. 육아휴직 사용률이 가장 높은 기업은 롯데쇼핑이었다.
2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에 따르면 매출액 기준 100대 기업 중 육아지원제도를 공시한 기업 83곳을 대상으로 육아휴직 사용자 수와 사용률을 조사한 결과, 삼성전자의 지난해 육아휴직 사용자 수는 4892명으로 조사 대상 중 1위였다.
이어 기업은행(1391명)과 LG디스플레이(1299명), 한국전력공사(1004명), 한국수력원자력(758명), SK하이닉스(756명), 현대자동차(639명), 국민은행(562명), 대한항공(547명), LG전자(534명) 등의 순이었다.
지난해 육아휴직 사용자 수가 가장 적은 기업은 두산밥캣이다. 두산밥캣의 육아휴직 사용자 수는 지난해 5명에 그쳤다. 두산밥캣 관계자는 “전체 직원 수가 150명에 불과한 점이 영향을 미쳤다”며 “지난해 육아휴직 전체 사용률은 50%”라고 설명했다.
육아휴직 사용자가 전년 대비 가장 많이 증가한 기업도 삼성전자(422명)였다. 이어 한전(280명), CJ제일제당(86명), 우리은행(75명), LG에너지솔루션(71명), 한수원(52명), 현대건설(33명), CJ대한통운(32명), 현대해상(31명), SK온(27명)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롯데쇼핑에 이어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77.3%),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72.9%), 기업은행(64.5%), SK네트웍스(61.0%), 삼성생명(59.8%), 하나은행(59.6%), 우리은행(53.2%), 신한은행(52.8%), 한화생명(50.8%) 등의 순이다.
반면 육아휴직 사용률이 가장 낮은 곳은 SK에코프랜트였다. SK에코플랜트의 육아휴직 사용률은 2022년 1.0%, 2023년 1.0%, 2024년 1.2%로 3년 연속 한 자릿수를 기록했다. 한온시스템(4.2%)과 현대건설(6.7%), 현대엔지니어링(7.0%), 포스코이앤씨(7.6%), 한화에어로스페이스(8.9%), 에쓰오일(9.8%) 등도 육아휴직 사용률이 낮았다.
박상영 기자 sypark@kyunghyang.com
▶ 주3일 10분 뉴스 완전 정복! 내 메일함에 점선면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