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파리협정 목표 달성을 위한 현 기후정책이 되레 세계 농경지 면적을 축소시켜, 식량 위기 안보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받는다.
(왼쪽부터) 베이징사범대 페이차오 교수, KAIST 녹색성장지속가능대학원 전해원 교수. KAIST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KAIST는 녹색성장지속가능대학원 전해원 교수와 베이징 사범대 페이차오 가오 교수가 이끄는 공동연구팀이 파리협정의 1.5도 목표 달성이 전 세계 농경지와 식량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2일 발표했다.
공동연구팀은 5㎢ 단위로 전 세계 토지 변화를 예측, 정밀 분석을 실시했다. 이 결과 1.5도 시나리오에서 농경지가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던 기존 연구내용과 달리, 파리협정을 토대로 진행되는 현재의 기후정책으로 전 세계 농경지 중 12.8%가량이 줄어들 수 있다는 결론이 도출됐다. 기후정책이 분야별로 미치는 영향과 토지 이용 강도를 함께 고려했을 때 나온 분석 결과다.
이보다 더 큰 문제는 주요 식량 수출국의 수출 능력이 12.6% 줄어 식량 수입에 의존하는 국가의 식량 안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다. 공동연구팀은 식량 생산 대국인 미국, 브라질, 아르헨티나의 농산물 수출 능력이 각 10%·25%·4% 감소할 것으로 예측한다.
이어 2022년 네이처 클라이밋 체인지(Nature Climate Change)에 발표된 두 번째 연구에서 연구팀은 1.5도 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2030년까지 각국의 단기 감축목표 상향 ▲2030년 이후 탈탄소화 속도를 기존 연평균 2%에서 최대 8%까지 상향 ▲각국의 탄소중립 달성 시점을 최대 10년까지 단축 등 세 가지 핵심 전략을 제시했다.
특히 연구팀은 2030년 이후의 목표 상향을 미루면 1.5도 달성이 가능하더라도 수십 년간 지구 온도가 큰 폭으로 오르는 ‘오버슈트’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전해원 교수는 “전 세계적 탈탄소화 전략을 세울 때는 여러 분야의 지속가능성을 두루 고려해야 한다”며 “온실가스 감축에만 집중한 나머지 지구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이라는 보다 큰 맥락을 보지 못한다면 의도치 않은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KAIST 전해원 교수와 베이징 사범대 송창칭 교수가 공동 교신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 결과(논문)는 지난달 24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 클라이밋 체인지(Nature Climate Change)'에 게재, 4월호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
대전=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