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 대통령, 왕이 부장 만나 5월 전승절 시 주석 초대
지난해 10월 브릭스 이후 7개월만 양국 정상회담 예측
4월엔 동남아 순방 예정, 트럼프 정상회담 시기 안갯속
지난해 10월 열린 브릭스 정상회의에서 시진핑(왼쪽) 중국 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인사하고 있다. (사진=AFP)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일 중국 외교부와 관영 신화통신 등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전날 모스크바에서 왕이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 겸 외교부장(장관급)을 만났다.
푸틴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시 주석에게 진심 어린 안부를 전해달라고 요청하면서 “러·중 관계가 높은 발전 수준을 유지하며 각 분야 실무 협력이 심화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번 기회를 통해 러·중 포괄적 전략 조정 동반자 관계를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리고 다자간 틀에서 양자 협력을 지속 심화할 용의가 있다”며 “격동하는 국제 정세에서 전략적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세계에 계속 강력한 신호를 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푸틴 대통령의 초대에 대해 왕 부장은 “양측은 서로의 중요한 기념 활동인 80주년을 지지하기 위한 전면적인 의견교환을 이뤘으며 올해 두 정상이 주고받은 중요한 교류가 다시 한번 중·러 관계의 새로운 장을 쓸 것으로 믿는다”며 긍정적으로 답했다.
푸틴 대통령은 지난 1월 시 주석과 통화에서도 다음달 9일 모스크바에서 열리는 전승절 80주년 행사에 초청한 바 있다. 시 주석은 오는 9월 3일 베이징 항일 전쟁 승전 80주년 기념행사에 푸틴 대통령을 초청하기도 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에도 중국과 러시아는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양국 정상은 그동안 40차례 이상 만나며 관계를 다져왔다.
시 주석은 이달 중에는 동남아를 방문한다는 관측이 나왔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전날 익명의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시 주석이 내달 중순 베트남과 말레이시아, 캄보디아를 방문하는 쪽으로 일정을 조율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SCMP 보도처럼 시 주석이 이달 동남아를 순방하고 다음달 러시아를 찾으면 당분간 미국과의 정상회담은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6월 중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이 정상회담을 조율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