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3월 소비자물가동향
물가 2.1% 상승, 석달 연속 ‘2%대’
빵 등 가공식품 물가 3.6% 큰 폭↑
정부 “전기·가스비 등 상반기 동결”
(사진=chatGPT)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부는 1분기(1~3월) 물가는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다고 평가했지만, 빵·커피·햄·아이스크림 등 가공식품과 외식, 대학 등록금, 난방비 등이 큰 폭 오르면서 서민들의 삶이 더 팍팍해졌다. 더욱이 이번 대형 산불 영향으로 봄배추·마늘·사과·돼지·닭 등 농축산물 수급 불안정에 따른 가격 인상 가능성도 있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3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3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6.29(2020=100)로 전년 동월 대비 2.1% 올랐다.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9~12월 1%대를 유지했지만, 올해 1월 2.2%, 2월 2.0%로 2%대 흐름을 잇고 있다.
지난달 물가는 서비스는 물론, 공업제품과 전기·가스·수도 및 농축수산물 등에서 전년 대비 모두 오름세를 보였다.
가공식품 물가 상승은 김치(15.3%), 커피(8.3%), 빵(6.3%), 햄 및 베이컨(6.0%) 등이 주도했다. 이들은 최근 출고가가 인상된 품목이다. 가공식품 출고가 인상은 즉각 물가에 반영되지는 않고, 재고 여부 등에 따라 순차적으로 영향이 나타난다. 이 때문에 가공식품이 물가는 향후 더 오를 수 있다. 이두원 통계청 경제동향심의관은 “이달에도 라면이나 맥주 등 일부 가공식품 출고가가 인상된 만큼 수개월에 걸쳐 소비자물가에 추가적으로 반영될 수 있다”고 했다.
석유류는 2.8% 올라 전달(6.3%)보다 오름폭이 둔화했다. 국제유가 하락 영향이다. 2월에는 석유류가 전체 물가를 0.24% 포인트 끌어올렸지만, 3월에는 0.11% 포인트로 물가 상승 기여도가 줄었다.
이 밖에 가격 변동성이 큰 농산물 및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1.9% 올랐다. 소비자들이 자주 구매하는 품목으로 구성된 생활물가지수가 전년 동월 대비 2.4% 올라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폭을 웃돌았다.
[그래픽=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
서민들의 체감물가가 오르자 정부는 농축수산물 수급 안정과 공공요금 동결 등 체감물가 안정을 위해 범부처의 역량을 총동원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또 4~5월 중 농축수산물 할인지원에 300억원을 추가 투입하고 배추와 무는 수급 안정을 위해 매일 100톤(t)이상 시장에 공급하고 돼지고기 원료육과 계란가공품에 대한 신규 할당관세를 통해 식품 원자재 가격 부담을 낮출 계획이다. 아울러 용량 축소를 통한 편법 가격 인상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담합을 통한 식품·외식 등 민생밀접분야의 가격 인상을 엄단할 방침이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