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명사진을 챗GPT에 업로드한 뒤, “지브리 스타일로, 카페에서 노트북을 하고 있는 모습으로 바꿔줘”라고 명령한 결과물. 인물뿐 아니라 배경의 따뜻한 조명과 카페의 목가적인 인테리어까지 지브리 특유의 감성으로 재해석됐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짱구 스타일로 그려줘”, “지브리 풍으로 바꿔줘”
요즘 챗GPT를 써본 사람이라면 한 번쯤은 이 마법 같은 문장을 쳐봤을 것이다. 내 얼굴을 애니메이션 속 주인공처럼 바꿔주는 기능. 단순한 재미를 넘어선 ‘SNS 도배 현상’이 현실이 되고 있다.
2일 기자는 직접 이 기능을 써봤다. 처음엔 일반적인 증명사진 스타일의 셀카 한 장을 챗GPT에 업로드하고, 이렇게 명령했다.
“이 사진을 지브리 스타일로, 노트북을 하고 있는 모습으로 바꿔줘”
단순히 ‘얼굴을 애니 스타일로 바꾸는’ 것을 넘어, 챗GPT는 명령어 속 ‘노트북을 하고 있는 상황’까지 반영해 그림 전체를 재구성한 것이다. 다시 말해, 사진을 기반으로 한 '시나리오 연출'까지 가능하다는 뜻이다.
지브리 스타일, 짱구 풍, 디즈니 공주 버전, 심슨가족 느낌까지 각자 원하는 스타일도 제각각이었다. 누군가는 커플 사진을 애니메이션으로 바꿔 커플 프사로 쓰겠다고 했고, 또 다른 이는 “이거 우리 결혼식 청첩장에 쓰면 안 되냐”고 물었다.
챗GPT에게 “사진을 지브리 스타일로 바꿔주고 변화된 모습을 보고 놀라는 과정을 4컷 만화로 구성해줘”라고 명령한 뒤 나온 결과물. 챗GPT는 사용자의 요청을 이해하고, 만화 속 등장인물의 표정 변화와 배경 디테일까지 반영해낸다. 다만 아직 한글 변환에는 무리가 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특히 아이를 키우는 부모들의 반응이 뜨거웠다. 자녀 사진을 애니풍으로 바꿔 액자로 걸어두겠다는 이들도 있었고, 어떤 지인은 아이 생일 초대장을 이 버전으로 제작해 인쇄까지 맡겼다고 한다.
놀라운 점은 ‘스타일’의 인식 수준이다. 단지 피사체만 바꾸는 게 아니라, 사진 전체의 맥락을 읽고 스타일화한다.
양다훈 기자 yangbs@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