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
지난달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개시한 홈플러스 대주주 MBK파트너스의 김병주 회장은 최근 기관투자자(LP)들에 보낸 서한에서 "회생절차가 진행되는 동안 유의미한 수준의 지분 가치 회수를 위해 홈플러스 운영에 대한 통제권을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김 회장은 매년 1분기 말 전 세계 LP들에게 지난 1년간 투자 성과 등을 설명하는 연례 서한을 보내는데, 올해는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논란이 뜨거웠던 지난달 말쯤 배포됐습니다.
연례 서한에 담긴 김 회장의 이같은 발언은 LP들의 자금 회수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임을 시사한 것이지만, 여기엔 채무 삭감 등 채권자들의 양보가 불가피하다는 전제가 깔려 있습니다.
이는 홈플러스 우선주보다 보통주에 투자한 LP들의 불이익이 더 클 수 있다는 점을 언급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김 회장은 홈플러스 회생 신청 경위에 대해선 "신용등급 강등으로 인한 운전자본 유동성 위기로 인한 불가피한 조치였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동안 MBK와 홈플러스가 밝혀온 입장과 동일합니다.
또한 그는 "홈플러스 회생절차가 언론에서 다소 잡음을 일으켰다"며 "홈플러스는 모든 이해관계자의 복지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사재 출연 등 '사회적 책임'(societal responsibility)을 다하기 위한 방안을 발표했다"고 말했습니다.
김 회장은 "한국 기업들은 일부 재벌가의 부실한 기업지배구조로 인해 역사적으로 'K-디스카운트(할인)'를 받으며 거래돼 왔다"며 고려아연이 그 대표적 사례라고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면서 MBK는 고려아연 최대 주주 영풍의 '백기사'로서 고려아연 지배권을 공동 인수하고, 이를 통해 경영 투명성을 제고하고 지배 주주와 일반 주주의 이해관계를 일치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MBK는 올해 창립 20주년을 맞았습니다.
지난해 MBK가 집행한 투자는 8건, 공동 투자를 포함한 총 투자 금액은 36억 달러로 집계됐습니다.
대부분의 투자는 한국과 일본에서 일어났으며, 총 운용 포트폴리오 가치는 200억 달러에 이르렀습니다.
작년 말 기준 홈플러스에 투자한 3호 펀드의 투자 원금 대비 수익률(MoE)은 2.1배, 내부수익률(IRR)은 연 16.0%로 나타났습니다.
(사진=MBK파트너스 제공, 연합뉴스)
홍영재 기자 yj@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