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35.36(0.56%) 오른 4만2225.32에 마감했고 대형주 위주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37.90포인트(0.67%) 전진한 5670.97을 기록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151.16포인트(0.87%) 상승한 1만7601.05로 집계됐다.
미국 정부는 알루미늄과 철강,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미리 발표한 상황이다. 이날 미국 정부는 3일 오전 0시 1분부터 자동차에 대한 25%의 관세가 발효된다고 고시했다. 자동차 부품에는 5월 3일부터 관세가 발효된다.
알루미늄과 철강 관세 부과에 따른 후속 조치로 미국 정부는 맥주캔에도 오는 4일부터 25%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관세가 보다 명확해지더라도 상대 교역국들의 대응과 협상 과정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남아 있어 시장 변동성이 단기간 내에 해소되기는 어렵다고 입을 모은다.
백악관 집무실에서 행정명령 서명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모습. [사진=로이터 뉴스핌]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스퀘어 캐피털 매니지먼트의 존 브레이저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오늘 대통령에게서 많은 것을 들을 것으로 기대하지만 주요 거래 상대국의 보복 및 확전 조치나 수사법에 대해 알기 전까지 시장은 계속 불안해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이날 공개된 경제 지표는 양호했다. 오토매틱데이터프로세싱(ADP)은 3월 민간 고용이 15만5000건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문가들의 11만5000건을 웃도는 수치다.
특징주를 보면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조만간 공직을 마치고 회사로 복귀한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테슬라의 주가는 5.31% 상승했다.
아마존닷컴은 틱톡 인수에 막판 참여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2.00% 올랐다. 리비안은 실망스러운 1분기 인도 실적에 5.95% 급락했다.
상장 첫날 700% 급등한 후 전날에도 180%의 상승세를 이어간 보수 매체 뉴스맥스는 이날 77.46% 급락했다.
'월가의 공포지수'로 불리는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지수(VIX)는 전날보다 0.87% 내린 21.58을 가리켰다.
mj72284@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