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월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진행된 샤오미코리아 기자간담회에 샤오미 제품들이 전시돼 있다./샤오미코리아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50만원 상당의 샤오미 발광다이오드(LED) TV를 구매했는데, 1년도 되지 않아 화면에 금이 가고 고장이 났습니다. 애프터 서비스(AS)를 신청하고 일주일이 지났지만 AS 기사는 샤오미 측과 논의해봐야 한다는 말뿐 2주일이 지나도 AS 처리가 되지 않았습니다.”(샤오미 LED TV를 구매한 소비자 A씨)
“지난 3월부터 AS 기사가 직접 고장난 제품을 수거하도록 AS 정책이 강화됐음에도, 택배로 제품을 AS센터에 보내야 한다는 회신이 왔습니다. 택배 발송을 위해 포장지부터 완충재 등을 소비자가 직접 준비해야 해 AS를 포기할지 고민입니다.”(샤오미 로봇청소기를 구매했던 소비자 B씨)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중국 샤오미의 애프터 서비스(AS) 정책에 대한 국내 소비자들의 원성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 1월 한국법인을 설립하고 본격적인 시장 진출을 선언한 샤오미는 AS 정책을 강화하고, 올 상반기 직영 AS센터를 설립하겠다고 공언했지만 소비자 대응은 미흡한 상황이다.
샤오미는 국내 38곳의 AS센터를 운영 중이다. 수리센터 14곳, 방문 설치 서비스 센터 24곳이다. 대면·택배 접수가 가능하며 TV 등 대형 가전기기는 출장 서비스를 제공한다. 국내에서 삼성전자가 300여곳, LG전자가 120여곳의 직영 AS센터를 운영하는 것과 달리, 샤오미는 AS센터를 모두 SK네트웍스서비스 서비스엔에 위탁·운영하고 있다.
샤오미의 블루투스 이어폰을 구매해 사용한 D씨는 “AS를 받기 위해 고객센터에 연락해 집에서 가까운 광명센터로 안내를 받았다”며 “AS를 맡기러 갔지만 재고가 없어 AS 접수가 되지 않았다. 재고가 있는 구로센터로 이동해 AS를 진행했다”고 토로했다.
이처럼 소비자 불만이 끊이지 않자, 샤오미는 지난 3월부터 AS 기사가 직접 방문해 제품을 수거하는 방식으로 AS 정책을 강화했다. 이와 함께 샤오미는 올 상반기 직영 AS센터를 개설해 소비자 편의를 강화하겠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구체적인 시기는 정해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샤오미 로봇청소기를 구매한 소비자 E씨는 “AS 방문 수거를 신청했지만, 제품 규격에 맞는 박스부터 완충재, 각종 서류 등을 직접 구비해야 해 소비자가 부담하는 일이 적지 않다”고 지적했다.
전병수 기자(outstanding@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