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수급 추계위 조속히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
지역 2차병원 집중 육성…거점지역응급의료센터는 연장 운영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중대본 제1총괄조정관)이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보건복지부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현재 대부분의 의대 학생들이 등록을 한 것으로 확인됐지만 또다시 수업을 거부하는 움직임이 있다는 보도가 있어 우려스럽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까지 39개 의대의 등록시한이 마감됐고, 인제대 1곳이 4일 등록 마감을 앞두고 있다.
박 차관은 "앞으로 학생들이 수업에 정상적으로 복귀하고, 각 대학의 수업이 정상적으로 운영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시기"라며 "정부도 의대교육 정상화가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지속 소통하고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이날 필수·지역의료의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의료개혁 1차 실행방안'을 착실하게 이행 중이며 추가적인 대책을 논의해 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의사들이 지역의료기관 필수과목을 진료하며 장기간 근무할 수 있도록 지역근무 수당 및 정주 여건을 지원하는 '지역필수의사제 시범사업'도 오는 7월 중 시행할 예정이다.
지난달 발표한 '의료개혁 2차 실행방안'을 통해서는 지역 내 의료 수요를 대부분 충족시키면서 응급진료 등 필수진료 기능을 충분히 갖춰 지역 주민들이 믿고 찾을 수 있는 2차병원을 집중 육성하는 한편, 비급여·실손보험 개편, 의료사고 안전망 강화 등 국민과 의료계 모두 공감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지난 겨울 비상진료대책으로 확대한 거점지역응급의료센터 23곳의 경우 대부분의 기관에서 '일평균 중증응급환자 수' '지역 내 분담률' 등 진료 실적이 개선돼 중증응급환자 진료 역량 보완이라는 역할을 충실히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평가 결과 역할이 미흡했던 1개소는 지정을 취소하고 다른 기관을 추가로 지정했다.
이에 따라 평가결과가 우수한 기관 60개소에 총 531억원의 보상금을 지급하는 한편, 향후에도 응급의료기관들의 비상진료 유지를 독려하기 위해 사업 운영기간을 비상진료 종료 시까지 연장 운영하고 기여도 평가 결과에 따라 보상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권역·지역응급센터 등 응급의료기관이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응급실 내 의료인력에 대한 인건비 지원 사업도 오는 5월까지 연장해 지원할 계획이다.
한편, 박 차관은 울산-경북-경남지역 산불 피해에 대해 "정부는 이재민 구호에 총력을 기울임과 동시에 광범위한 피해를 하루속히 수습하고 복구하는 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피해자분들께서 하루속히 일상으로 돌아오실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