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 경쟁력 하락 불가피…수출전략 제동 우려
현지 생산시설 확보·시장 다양화 등 대책 고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 제품에 대해 상호관세 25%를 부과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가운데 해외 시장 공략에 집중하고 있는 국내 식품업계가 대응책을 고심하고 있다. 사진은 서울 마포구 CU 홍대상상마당점에서 라면을 고르는 한 외국인 관광객 모습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더팩트|우지수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상대국이 자국 제품에 매긴 관세만큼 동일하게 부과하는 방식) 선언에 국내 식품 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미국을 핵심 수출지로 해외 진출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K푸드 전략에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3일 트럼프 대통령은 모든 수입품에 10%의 기본 관세를 부과하고 일부 국가에 대해서는 추가 상호관세를 적용한다고 발표했다. 미국이 정한 한국의 상호관세는 25%다. 오는 6일(현지시간)부터 미국에 수출되는 일부 한국산 수입품에 기본 관세를 포함해 최대 35%의 관세가 부과될 예정이다.
식품업계는 미국 관세 정책이 적용되면 K푸드를 앞세운 해외 수출 전략에 제동이 걸릴까 우려하고 있다. 현재 주력 수출 품목들의 미국 내 가격 경쟁력이 하락할 가능성이 커졌다. 해외 수출 비중을 키워 놓은 업체들은 매출액 감소 타격이 올 수 있는 상황이다.
산업연구원은 지난 2월 트럼프 행정부가 10∼20%의 보편관세를 부과할 경우 한국의 대미 수출액이 8.4∼14%(약 55억∼93억달러) 감소할 것이라는 추산을 내놨다. 통상 관세가 높아지면 수입 제품에 대한 수요가 감소한다. 이번에 발표된 한국 상호관세 부과율은 25%로 산업연구원 예측보다 높아 수출 감소액이 더 클 것으로 예측된다.
서울 중구 한 대형마트 K푸드 전문 매대를 찾은 외국인 관광객들이 제품을 살펴보고 있다.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식품업계에서는 미국 내 생산시설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과 그렇지 못한 기업 사이의 온도차가 예상된다. 일례로 농심과 CJ제일제당은 각각 캘리포니아와 뉴욕에 라면 및 가공식품 공장을 운영하며 생산 체계를 갖추고 있어 관세 부담을 일정 부분 상쇄할 수 있다. 미국 내에서 생산한 제품은 원산지 기준 충족시 관세가 면제되기 때문이다.
정부도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발표 이후 K푸드의 대미 수출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이날 오전 7시 정부 서울청사에서 긴급 경제안보전략 태스크포스(TF) 회의를 열고 상호관세 관련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관세 인상에 따른 품목별 타격 정도를 검토 중이며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주재로 '민관합동 미 관세조치 대책회의'를 개최한다.
한 식품업계 관계자는 "미국 상호관세 정책이 발표된 직후 업계가 긴급 논의에 들어갔을 것"이라면서도 "미국 내 생산시설 확보가 관세 극복의 관건이겠지만, 여력이 되지 않는 업체들은 다른 시장 확대 등 방안을 고민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index@tf.co.kr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