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불확실성까지 가중 우려
시장 모니터링 강화, 안정 조치 준비
3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발표 관련 뉴스가 나오고 있다.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 선고일이 하루 앞으로 다가오면서 금융 시장에도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미국의 상호 관세 조치로 시장 변동성이 커진 상황에서 정치적 불확실성까지 가중할 경우 시장이 더욱 혼란에 빠질 수 있어서다. 금융당국은 가용한 모든 시장 안정 조치를 즉각 시행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등 경계 모드에 들어간 상태다.
3일 금융감독원은 이세훈 수석부원장 주재로 주요 임원 및 부서장이 참석하여 금융 상황 점검 회의를 개최했다. 4일에도 김병환 금융위원장과 이복현 금감원장 주재로 비상 상황 점검 회의를 열고 시장 안정을 위한 메시지를 낼 예정이다.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내 시장 관련 부서는 증시, 환율 관련 모니터링을 강화하기 위해 비상 대기 중이다.
과거 두 차례의 탄핵 심판 때를 보면 결과에 따라 주식시장 향방이 엇갈렸다. 헌재가 노무현 전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을 기각한 2004년 5월 14일 코스피 지수는 2.74% 떨어진 반면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이 가결된 2017년 3월 10일 코스피는 0.3% 올랐다. 다만 노 전 대통령 탄핵 당시에도 단기간 시장에 충격파가 있었지만, 어느 정도 기간이 지난 이후 안정을 찾았다. 결국 탄핵 정국이 단기 이벤트였다는 것이다.
하지만 최근 한국을 둘러싼 대외 경제 불확실성이 어느 때보다 커졌다는 점이 문제다. 트럼프 정부가 이날 한국에 25% 상호 관세를 부과하면서 수출 중심의 국내 주요 기업은 후폭풍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경기 침체 가능성이 커지고 성장률 둔화도 예상되면서 한국 시장의 기초체력이 크게 약화한 상황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대외 리스크가 계속 커지는 상황에서 탄핵 선고까지 앞두면서 초긴장 상태"라며 "시장 안정을 위한 조치와 관련 메시지 등을 철저히 점검하고 있다"고 말했다.
안하늘 기자 ahn708@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