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대행, 4·3 제주행 전후로 긴급경제안보전략TF 주재
“한미동맹 바탕, 상호호혜적 해결방안 모색”
중소·중견기업 등 취약부문·업종 지원책 마련
최상목 부총리도 신속 대응…“24시간 시장 점검 체계”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사진=연합뉴스) |
한 대행은 이날 오후 서울공관에서 경제안보전략TF를 열고 “오늘부터 (미국)관세가 적용되는 자동차 산업에 대해서는 다음 주까지 긴급 지원대책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한 대행은 “이번 미국의 관세조치는 국제 자유무역 질서와 글로벌 공급망 구조 자체를 바꿔 세계 경제질서를 재편하는 변곡점으로 작용해 수출 주도의 우리 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한국 기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호관세 부과가 시작되는 오는 9일 전까지 대미 협상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역설했다. 한 대행은 “즉시 통상교섭본부장의 방미를 추진하는 등 각급에서 긴밀한 대미 협의를 추진하는 한편, 한미동맹과 경제통상 협력관계를 바탕으로 상호 호혜적인 해결방안을 중점 모색하겠다”고 했다.
앞서 한 대행은 이날 오전 7시에도 긴급 경제안보전략 TF를 주재했다. 이날 제주 4·3 사건 희생자 추모식에 참석하기 위해 제주를 방문하기 직전, 돌아온 직후 TF 회의를 가동하며 총력 대응 태세를 취한 셈이다.
경제팀도 발 빠르게 움직였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경제안보전략TF 회의 직후 거시경제금융현안간담회(F4)를 주재하고 미국의 관세 조치에 따른 금융·외환시장 영향을 점검했다.
최 부총리는 “정부는 그동안 F4회의를 바탕으로 금융·외환시장의 변동성 확대에 대비해 상황별 대응계획을 준비해왔다”며 “시장 변동성이 과도하기 확대될 경우 상황별 대응계획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시장안정조치를 즉각 시행하겠다”고 말했다. 최 부총리는 외환과 국채, 자금 등 각 시장별 점검을 위한 24시간 점검 체계를 가동하겠다고 밝혔다.
최 부총리는 이날 오후엔 한국개발연구원(KDI),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등 6개 민·관 연구기관장들과 간담회를 갖고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에 따른 영향 점검과 대응 방안 논의를 이어갔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