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5월 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브리핑실에서 열린 ‘윤석열정부 2년 국민보고 및 기자회견’에서 질문에 답변하던 도중 물을 마시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판 선고를 하루 앞둔 3일 용산 대통령실과 한남동 관저에는 긴장감이 감돌았다.
헌재가 탄핵소추를 인용할 경우 윤 대통령은 박근혜 전 대통령에 이어 두 번째로 헌정 사상 탄핵당한 대통령이라는 불명예를 안게 된다. 반대로 기각 또는 각하되면 노무현 전 대통령에 이어 탄핵 위기를 딛고 돌아온 두 번째 대통령이 된다.
윤 대통령은 선고 당일 한남동 관저에서 TV를 통해 헌재 결정을 지켜볼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윤 대통령은 관저서 TV로 선고를 지켜볼 것으로 안다"며 "선고와 관련해 윤 대통령의 메시지는 따로 없었다"고 전했다.
윤 대통령은 법률대리인을 통해 질서 유지와 경호 문제를 이유로 4일 오전 11시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리는 선고에 불출석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통령실 내부 분위기는 차분함을 유지하면서도 헌재의 결정이 대통령의 정치적 운명을 가를 수 있다는 점에서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 관계자는 "당연히 기각 또는 각하를 바라고 있다"며 "헌재가 현명한 결정을 내려줄 것으로 믿고 있다"고 했다.
국민 통합 메시지를 담은 대국민 담화를 발표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다만 업무 복귀 첫날에는 일정상 발표가 어려울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노무현 전 대통령 역시 복귀 다음 날 대국민 담화를 발표한 전례가 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업무 복귀 첫날은 공식적인 대국민 담화를 발표하기 어려울 수 있다"며 "국무회의나 NSC 등 일정을 소화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대통령의 메시지가 전해질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반면 탄핵이 인용될 경우 윤 대통령이 대국민 승복 선언 등 별도의 입장을 밝힐지는 아직 불확실하다. 일부에서는 선고 당일 관저와 대통령실 주변에 지지자들이 모일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이들을 향한 메시지가 나올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윤 대통령은 탄핵 인용 시 한남동 관저를 떠나 서초동 사저로 거처를 옮길 것으로 보이지만, 신변 정리와 사저 정비 등을 이유로 며칠간 관저에 머무를 가능성도 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탄핵 인용 이틀 만에 청와대를 떠나 삼성동 사저로 복귀한 바 있다.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