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동남아에 의존해온 미국 기업들도 타격 우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
(서울=연합뉴스) 문관현 기자 = 전 세계를 상대로 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폭탄에 미국 빅테크도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트럼프 대통령이 2일(이하 현지시간) 발표한 전면적인 상호관세가 중국과 여러 국가에 생산을 크게 의존하는 애플, 아마존 등 미국 기업들에 격변을 일으킬 것으로 보인다고 3일 보도했다.
국가별 상호관세율을 보면 베트남(46%), 태국(36%), 중국(34%), 대만·인도네시아(32%), 인도(26%) 등 미국의 다국적 기업들의 공급망이 몰려 있는 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관세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웨드부시 증권의 애널리스트 대니얼 아이브스는 관세의 범위가 시장이 우려하는 "최악의 시나리오보다 더 나쁘다"고 평가했다.
2일 뉴욕장 마감 후 시간외 거래에서 애플 주가는 7% 급락했다. 아마존은 약 6%, 엔비디아도 5% 이상 각각 내렸다.
특히 이번 상호관세는 그동안 공급망을 다각화해온 애플에 큰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FT에 따르면 연간 아이폰 미국시장 출하량은 약 5천만대로, 이 중 대부분이 중국에서 생산된다. 아이폰은 여전히 애플 전체 매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트럼프 1기 행정부 때에도 중국산 제품에 관세가 부과됐지만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당시 트럼프 대통령을 설득해 관세 면제를 얻어낸 바 있다.
FT는 애플이 트럼프 1기 때처럼 이번에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 백악관 대변인은 대통령의 행정명령에 애플에 대한 면제가 없다고 확인했다고 FT는 전했다.
빅테크(PG) |
는 7% 주가가 하락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첫 임기 때 중국산 수입품에 가파른 관세를 부과한 후 많은 미국의 대형 소매업체가 공급망 다각화를 모색했음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하락했다고 FT는 전했다.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