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2일(현지시간) 공개한 주요국 상호관세율은 각국의 상품 무역과 각종 비관세 장벽을 고려한 계산이 아닌, 주먹구구식 '단순 계산'으로 이뤄졌다는 점에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상호관세율 산정의 기본값은 미국이 파악하는 상대국의 대미 관세율인데 이 값을 '미국의 무역적자를 수입액으로 나눈 비율'로 계산한 것으로 파악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관세를 발표하며 제시한 현황표에는 한국이 '환율조작·무역장벽을 포함한 미국에 대한 관세'로 50%를 부과하는 것으로 계산돼 있다.
한국의 대미수출은 1315억달러, 한국과의 무역에서 발생한 적자 규모는 660억달러로 공식을 대입하면 50.2%가 된다. 이는 트럼프 정부가 주장한 한국의 대미 관세와 동일한 숫자다.
이 공식을 대입하면 일본(수출 1482억달러·흑자 685억달러)은 46.2%, 유럽연합(수출 6058억달러·흑자 2356억달러)은 38.9%로 각각 미국이 주장한 대미 관세 규모와 같은 수치다. 이러한 계산법대로라면 대미 흑자 비율이 클수록 더 높은 상호관세율을 부과받을 수밖에 없다. 한국이 일본, 유럽연합보다 높은 상호관세율을 적용받은 이유다.
[워싱턴 최승진 특파원 / 서울 최현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