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얀마 강진 일주일 째, 구조 소식은 더 들려오지 않고 있습니다. 미얀마 군부를 향해서는 피해 수습보다 정권 유지에 몰두하고 있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습니다.
미얀마에서 이도성 특파원입니다.
[기자]
무너져 내린 건물 잔해 아래 필사적으로 흔드는 손.
미얀마에 강진이 덮친 지 125시간 만에 나온 생존자입니다.
강진 일주일째, 하지만 기적적인 구조 소식은 더 들리지 않고 있습니다.
[틴/실종자 아버지 : 이곳에는 구조대도 없기 때문에 제가 직접 딸을 찾고 있습니다. 저는 수색을 위해 다이버를 돈을 주고 고용해야 합니다.]
앞서 군정 수장인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이 국제사회에 도움을 요청했는데, 그 지원이 피해 지역에 제때 가 닿을지는 미지수입니다.
심지어 구호품을 실은 중국 호송대는 지진 피해가 큰 만달레이로 가던 중 미얀마군의 총격을 받기도 했습니다.
정치적인 이유로 실제론 원조를 가로막고 있다는 비판이 거세지자, 군부는 내전을 잠시 멈추겠다고 했습니다.
군부가 파악해 공개한 사망자는 3천 여 명, 부상자도 5천 명에 달하는 상황.
이 와중에 흘라잉 최고사령관은 벵골만기술경제협력체 정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태국 방콕으로 향했습니다.
군정을 지지하는 중국과 러시아가 아닌 다른 나라를 찾는 건 이례적입니다.
[영상취재 정철원 / 영상편집 강경아 / 영상디자인 한영주]
이도성 특파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