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관세 34% 추가 부과, 총 54%로…마지노선에 육박
중, 발효일인 9일 발표할 듯…이달 ‘대규모 부양책’ 주목
칭다오 항구의 컨테이너들 지난 2일 중국 산둥성 칭다오의 한 항구에서 크레인이 선박에서 컨테이너를 내리고 있다. AFP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중국에 34%의 상호관세를 추가 부과하자 중국이 단호하게 반격하겠다고 예고했다.
중국 상무부는 대변인 명의의 성명을 내고 “중국은 미국의 일방적 관세 부과에 단호히 반대하며 반격 조치를 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1일 왕이 외교부장도 러시아 리아노보스티통신 인터뷰에서 “미국이 지속적으로 압박을 가하고 다양한 형태의 위협을 가한다면 중국도 단호한 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34%의 상호관세를 매긴다고 발표하면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중국산 수입품에 부과되는 관세는 총 54%가 됐다. 앞서 미국은 마약성 진통제인 펜타닐 유입 문제를 이유로 두 차례에 걸쳐 10%씩 총 20%의 관세를 중국에 물렸다. 오는 9일 상호관세가 발효하면 트럼프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60% 대중 관세’가 사실상 현실화하는 셈이다.
중국은 미국의 이번 조치로 제3국을 통한 우회 수출에도 타격을 입게 됐다. 미국은 중국의 주요 우회 수출국인 베트남에 46%, 캄보디아에는 49%의 관세를 부과했다. 중국 기업들은 최근 몇년 동안 자국의 인건비 상승과 미국의 고율 관세, 대중국 제재를 피해 이들 국가로 생산기지를 대거 이전해왔다. 지난해 베트남의 대미 상품 무역흑자 규모는 약 1230억달러(약 190조원)다. 중국의 베트남 우회 수출액은 140억달러(약 20조원)로 추정된다.
미국에서 소액 면세 제도를 적용받는 소포는 지난해 14억건으로 2020년 대비 2배 급증했으며, 60%가 중국에서 왔다.미국이 지난 2월과 3월 관세 부과를 발표했을 때 중국은 관세 발효일에 대응 조치를 발표했다. 이번에도 발효일인 9일 발표할 가능성이 있다.
당시 미국은 모든 중국산 제품을 대상으로 관세를 부과한 반면 중국은 관세 대상을 일부 미국산 제품으로 한정했다.
이 밖에 구글 등 미국 기업에 대한 반독점 조사와 자국 기업의 대미 투자 제한을 발표했으나 미국 경제 전반에 실질적 유효타를 주는 정책은 아니라고 평가됐다. 여기에는 내수와 부동산이 부진한 상황에서 경제 버팀목인 수출을 지켜야 한다는 속사정이 반영됐다.
관세율이 마지노선으로 여겨지던 60%에 가까워져 중국이 준비해 둔 결정적인 보복 카드가 나올 때가 됐다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중국은 유럽연합(EU),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과의 관계를 강화하면서 대규모 부양 조치와 보복 조치를 병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리창 국무원 총리는 지난달 23일 중국발전포럼 연설에서 “필요시 증량정책(확장적 재정 및 완화적 금융 정책)을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이달 말 당 정치국 회의에서 대규모 부양책이 결정될 수 있다.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주3일 10분 뉴스 완전 정복! 내 메일함에 점선면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