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목)

이슈 인공지능 시대가 열린다

“지브리를 더럽히다니”…챗GPT로 변환한 AI그림에 분노한 ‘이 남자’의 정체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원피스 애니메이션. [사진 출처 = 원피스 엑스 계정 갈무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오픈에이아이(OpenAI)의 챗지피티(ChatGPT)를 이용해 일본 애니메이션 제작사 ‘스튜디오 지브리’의 그림체를 구현하는 게 전 세계적 인기를 끌고 있자 일본 유명 애니메이션 시리즈 ‘원피스’의 감독이 공개 비난에 나섰다.

지난 1일 원피스 애니메이션 감독 이시타니 메구미는 자신의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지브리를 더럽히다니…용서하지 않겠다”라고 올렸다.

그는 또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영상과 함께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이 과거 인공지능 기술에 대해 했던 말을 공유하기도 했다. 지브리를 설립한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은 2016년 일본 엔에이치케이(NHK)에서 방영된 다큐멘터리 방송에서 인공지능 기술로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것에 대해 “삶에 대한 모독”이라며 강하게 비판한 바 있다.

당시 그는 “이 기술을 내 작업에 쓰고 싶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이시타니 메구미는 지난 2일에도 “지브리 에이아이를 사용하는 일본인도 있냐”며 “절망스럽다. (그건) 지브리의 브랜드 가치를 떨어뜨릴 수 있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법적 조치를 취했으면 좋겠다. 지브리가 이렇게 싸구려 취급을 당하는 것을 참을 수 없다”고 덧붙였다.

챗GPT로 생성한 축구선수 손흥민 이미지.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편 오픈에이아이는 지난달 25일 ‘챗지피티(ChatGPT)-포오(4o) 이미지 생성’ 모델을 출시한 바 있다.

출시 직후부터 전 세계 이용자들은 인기 애니메이션 화풍으로 자신의 자신을 바꾼 뒤 공유되고 있다. 이 중에서도 지브리 화풍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최근 움직임에 대한 지브리의 공식 반응은 아직 나오지 않았다.

오픈에이아이는 이번 기술을 공개하며 전보다 완화된 규제 정책도 발표했다.

새 정책에 따라 챗지피티를 통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나 정부효율부(DOGE) 수장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 등 유명인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아시아인의 눈’이나 ‘뚱뚱한 사람’처럼 기존에 인종 차별 우려 등으로 묘사가 제한됐던 이미지도 작업이 가능해졌다.

2차 대전 당시 독일 나치당의 상징인 ‘갈고리 십자가’(하켄크로이츠) 문양 등 혐오 상징물의 생성도 제한이 풀린 것으로 알려졌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