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관세율 50%…"美상품 소량 수입하는 빈국에 징벌적 관세"
'9월 만료' 美아프리카성장기회법 종료 신호탄 분석도
퇴근하는 레소토 공장 노동자들 |
(요하네스버그=연합뉴스) 유현민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가장 높은 상호관세율 50%를 부과받은 나라는 남아프리카의 소국 레소토다.
3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레소토는 인구 약 200만명에 국내총생산(GDP)이 20억 달러(2조9천억원)가 조금 넘는 남아프리카공화국에 둘러싸인 가난한 내륙국이다.
주로 다이아몬드와 리바이스 청바지를 비롯한 섬유제품으로 대미 무역 흑자를 낸다. 옥스포드 이코노믹스에 따르면 지난해 총 2억3천700만 달러(약 29억원)에 달하는 대미 수출이 GDP의 10% 이상을 차지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가 미국 상품에 부과되는 관세와 다른 비관세 장벽에 대한 대응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레소토는 미국산 제품에 99%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 결과 미국 상품을 소량만 수입하는 레소토와 마다가스카르(47%) 같은 국가가 훨씬 더 부유한 국가보다 더 많은 징벌적 관세를 부과받았다고 로이터통신은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4일 미국 상·하원 합동 연설에서 충격적 예산 낭비를 일부 확인했으니 들어보라며 레소토를 거명했다.
그는 "아무도 들어본 적이 없는 아프리카 나라 레소토의 LGBTQI+(성소수자 집단)를 증진하기 위한 800만 달러(약 116억원)"라고 말해 청중의 폭소를 자아냈다.
당시 레호네 음포트호아네 레소토 외무장관은 "매우 모욕적"이라고 항의했다.
2000년 제정된 AGOA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에서 미국으로 직접 수출할 때 관세와 쿼터를 면제하는 법률로 오는 9월 재연장 여부가 결정된다.
hyunmin623@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