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매매가 0.11% 상승…강남·송파 엇갈린 흐름
성동·마포 풍선효과 감지…과천, 성남 비규제 지역 강세
서울 시내의 한 공인중개사 사무실에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지정 안내가 게시돼 있다. 2025.3.30/뉴스1 ⓒ News1 이승배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세종=뉴스1) 조용훈 기자 =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 확대 및 재지정 이후 시장의 혼조 양상이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
4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3월 다섯째 주(31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11% 상승하며 지난주와 동일한 상승폭을 기록했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재건축 추진 단지 등에 대한 국지적 수요는 꾸준하지만, 매수 관망 심리가 지속되며 거래량이 많이 늘어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강남3구와 용산구 등 주요 지역 간 온도차도 뚜렷하다. 강남구는 전주 0.36%에서 이번 주 0.21%로, 서초구는 0.28%에서 0.16%로 각각 상승폭이 줄었다. 하지만 송파구는 잠실·신천동을 중심으로 상승세를 보이며 -0.03%에서 0.28%로 반등했다. 용산구도 0.18%에서 0.20%로 소폭 올랐다.
특히 서울시는 전날 제5차 도시계획위원회를 열고 △강남구 압구정 아파트지구 △영등포구 여의도 아파트지구와 인근 17개 단지 △양천구 목동 택지개발사업 14개 단지 △성동구 성수전략정비구역(1~4구역)의 토지거래허가구역을 재지정한다고 밝혔다.
지속적인 추가 규제 강화로 인해 매수심리는 위축되고 있다.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3월 셋째 주(17일) 100.6에서 다섯째 주(31일) 98.7로 하락하며 매수세 약화를 나타냈다.
양지영 신한투자증권 자산관리컨설팅부 수석은 "토허제 확대 지정은 단기적으로 거래 위축과 가격 조정을 유발할 가능성이 크다"면서도 "기준금리 추가 인하 가능성과 지속적인 공급 부족 등 부동산 시장을 자극할 요인들이 여전해 중장기적으로는 다시 가격이 반등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joyonghun@news1.kr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