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올해 SK하이닉스의 실적 개선 이유를 3가지로 꼽았다. 그는 ▲올해 1분기부터 HBM3E 12단 출하가 본격화되며 분기별 D램 평균 영업이익률 52%로 예상 ▲스마트 폰, PC 업체들의 재고조정 완료로 2분기부터 범용 메모리의 구매 수요 발생으로 메모리 가격의 상승 전환이 기대 ▲ NAND의 경우 공정 전환에 따른 생산능력 축소, 이에 따른 자연 감산 효과로 올 연말까지 수급 개선이 지속 등의 이유로 설명했다.
이에 따라 SK하이닉스의 올해 1분기 실적은 매출 17조1000억원, 영업이익 6조8000억원으로 추정했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38%, 135% 증가한 수치다.
김 연구원은 "올해 전체 영업이익은 35조3000억원, 2026년 영업이익은 42조6000억원으로 2024년부터 시작된 실적 개선 추세가 3년간 이어질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SK하이닉스는 3분기 HBM3E 12단 탑재한 블랙웰 울트라 출하의 본격적 확대, 아이폰17 메모리 확대 (8GB → 12GB)와 윈도우10
업데이트 종료에 따른 윈도우11 기반의 기업용 PC 교체 등이 올 하반기 실적 업사이드 요소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이승진 기자 promotion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